주말 사이 인도네시아를 덮친 쓰나미로 인한 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사망자만 2백 명을 넘어선 가운데 추가 쓰나미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오면서 우려를 키우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조수현 기자! <br /> <br />지금까지 집계된 피해 상황부터 정리해주시죠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인도네시아 재난 당국이 공식 확인한 사망자는 222명입니다. <br /> <br />이 가운데 160여 명이 유명 관광지인 판데글랑에서 나왔는데요. <br /> <br />사망자는 모두 현지인으로, 외국인은 없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. <br /> <br />쓰나미로 주택과 건물 수백 채가 무너지면서 잔해에 깔려 참변을 당한 주민들이 많았습니다. <br /> <br />부상자는 843명으로 집계됐고 수십 명이 현재 실종 상태입니다. <br /> <br />인도네시아는 우리나라와 2시간 시차가 있어 이제 아침 7시 40분쯤 됐는데요. <br /> <br />쓰나미 발생 사흘째인 오늘 현장에서는 필사의 구조와 수색 작업이 펼쳐질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외교부는 현지를 여행 중이던 한국인 일부가 안전지대로 대피한 것 외에 우리 국민 피해는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지금까지 확인된 사상자만 천 명이 넘는데, 피해 규모가 이렇게 컸던 배경은 어떻게 볼 수 있을까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이번 쓰나미는 크리스마스 연휴를 앞둔 휴일 밤 예고 없이 밀어닥쳤습니다. <br /> <br />피해가 집중된 순다 해협 인근 해변에는 축제도 한창이어서 많은 인파가 모여 있었는데요. <br /> <br />쓰나미 발생 직후 아무런 경보가 발령되지 않아 관광객과 주민들이 무방비로 당한 셈입니다. <br /> <br />보통 지진에 따른 쓰나미 우려가 있을 경우 지진 직후 경보가 발령되는데, 이번 쓰나미의 경우 지진 활동 등 별다른 전조가 없어 당국도 전혀 예측하지 못했다고 합니다. <br /> <br />쓰나미의 높이는 0.9m 안팎 수준으로 비교적 작았습니다. <br /> <br />쓰나미 자체는 큰 편이 아니었습니다만 미흡한 초기 대응이 피해를 키웠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태양과 지구, 달이 일직선 상에 있는 대조기를 맞아 해수면이 높아진 상태여서 피해가 커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쓰나미의 원인은 밝혀졌나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'해저 산사태'가 이번 쓰나미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쓰나미가 발생한 지역에는 '아낙 크라카타우' 화산이 있는데요. <br /> <br />이이 화산이 수차례 분화하면서 바닷속 화산의 일부분이 무너져 쓰나미로 이어졌을 것이라는 관측입니다. <br /> <br />'아낙 크라카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181224094223152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