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진행 : 이세나 앵커 <br />■ 출연 : 왕선택 YTN 통일외교 전문기자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북미 협상 소강 국면이 계속되는 가운데 2018년 한 해가 저물어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래서 더욱 북한 김정은 위원장의 신년사 내용에 관심이 커지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한편 한일관계는 동해 레이더 가동 논란으로 더욱 악화하고 있고 한미관계는 주한미군 방위비 문제로 또 긴장감이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왕선택 통일외교 전문기자와 함께 한반도 주변 외교 안보 상황 점검해 보겠습니다. 안녕하십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안녕하세요. <br /> <br /> <br />저희가 북한 이야기를 나눌 때마다 김정은 위원장의 신년사가 참 중요하다는 이야기를 하지 않았습니까? 이제 1월 1일 보통 아침에 발표를 하다 보니까 정말 얼마 안 남았는데요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그렇습니다. 별일이 없다면 1월 1일 아침 9시부터 30분 동안 신년사를 낭독하는 방송을 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보통 그 부분이 가장 주목이 되는데 어떤 부분을 눈여겨서 보면 좋을까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금 다른 때보다도 특히 김정은 위원장 신년사가 주목받는 이유는 북미 협상이 잘 진행돼야 되는데 지금 안 되고 있고. 미국이 최근에 유화 공세를 보내면서 뭔가 대화를 적극적으로 하려고 하는데 북한이 답을 하지 않는 상황이 너무 오래됐어요. <br /> <br />두 달 넘게 북한이 묵묵부답이라는 상황, 북미 협상에 대해서. 그런 상황이 있기 때문에 신년사에서는 비핵화라든가 북미 협상이라든가 이런 것에 대해서도 언급을 하는 게 분명하기 때문에 그렇기 때문에 신년사에서 방향이 나오겠구나. 그래서 다른 때보다도 더욱더 주목을 하는 그런 부분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보통 지금이 북한에서는 연말 결산 총화 기간이기 때문에 신년사도 어느 정도 정리가 되지 않았을까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그렇습니다. 신년사는 대체적으로 3개월 동안 작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래서 10월, 11월 12월. 10월 달부터 정보 수집하고 분야별로 초야로 올리고 중앙에서 그것들을 해서 다시 초안을 만들고 다시 점검하고 이런 과정을 겪는다고 하거든요. <br /> <br />지금은 원고가 벌써 몇 번째 완성되고 다시 고치고 완성되고 다시 고치고 하는 그런 과정에서 가장 마지막 단계가 아닐까, 이렇게 예상을 해볼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조금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181229181930461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