사회적 갈등은 막대한 사회적 비용을 발생시켜 우리 사회의 성장과 통합을 위협하는 불안요인입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사회적 갈등이 국가 경제와 사회 통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판단에 따라 올 한해 갈등의 관리와 해결에 역점을 두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추은호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사람 사는 사회에서 갈등은 끊임없이 생겨납니다. <br /> <br />신고리 5, 6호기 건설과 제주 강정마을 구상권 문제처럼 공론화와 소통을 통해 갈등이 해결되는 경우도 있지만 항상 새로운 갈등이 등장합니다. <br /> <br />이러한 사회적 갈등은 막대한 사회적 비용을 유발합니다. <br /> <br />사회적 갈등으로 인한 경제적 비용이 연간 82조 원이라는 추산이 있는가 하면 우리 사회의 갈등수준이 OECD 평균만 돼도 GDP가 0.2%포인트 오를 것이라는 분석이 있을 정도입니다. <br /> <br />정부도 갈등 관리의 중요성을 인식해 범정부 차원에서 대처가 필요한 '집중관리 갈등과제'를 선정해 관리하고 있고 각 부처와 지방자치단체별로도 갈등과제를 정해 관리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이낙연 / 국무총리 : 현재 각 부처는 해결해야 할 갈등과제를 많이 안고 있습니다. 올해는 정부가 갈등해결에 획기적인 성과를 거두기를 바랍니다.] <br /> <br />정부는 이를 위해 총리 주재로 매주 열리는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각 부처의 갈등해결 노력을 점검한다는 방침입니다. <br /> <br />특히 새롭게 부각된 젠더 갈등과 최저임금 인상 갈등, 카카오 카풀을 둘러싼 갈등은 문재인 정부의 국정과제와 직결된다는 점에서 세심한 관리가 필요합니다. <br /> <br />젠더 갈등과 최저임금 인상 갈등의 여파로 20대 남성과 자영업자가 지지대열에서 이탈하고 있고 최저임금 문제와 카카오 카풀 갈등은 소득주도성장과 혁신성장이라는 정책 기조를 흔드는 불안요인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이 때문에 정부는 현장과의 소통, 민주적 절차와 유연한 방식에 따른 해결이라는 원칙을 정하고 갈등 과제를 꼼꼼히 관리한다는 방침인데 과연 어느 정도 성과를 낼지 주목됩니다. <br /> <br />YTN 추은호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190106010117474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