중국 언론들이 북한 김정은 위원장의 방중 사실을 이례적으로 김 위원장 베이징 도착 전에 신속하게 보도했습니다. <br /> <br />주요 외신들은 김 위원장의 이번 방중이 트럼프 미 대통령과의 2차 정상회담을 모색하는 가운데 이뤄져 사전 조율을 할 것이란 관측을 내놓았습니다. <br /> <br />이종수 기자가 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중국 국영 언론들은 김정은 위원장이 베이징에 도착해 공식 일정에 들어가기 전에 김 위원장 중국 방문을 보도했습니다. <br /> <br />[중국 국영 CCTV 보도 : 시진핑 중국 공산당 총서기 겸 국가주석의 초청으로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 겸 국무위원장이 7일부터 10일까지 중국을 방문합니다.] <br /> <br />중국 매체가 김 위원장이 베이징 도착 전에 방중 사실을 확인한 전례는 없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6월 김 위원장의 세 번째 방중 때는 김 위원장의 비행기가 베이징에 도착한 이후에 1시간이 되지 않아 이를 보도했습니다. <br /> <br />김일성 주석과 김정일 국방위원장 집권 시기 중국 국영언론은 북한 최고지도자가 일정을 모두 마치고 중국 땅을 떠난 뒤에야 이를 공개했습니다. <br /> <br />주요 외신은 김 위원장의 이번 방문이 교착 상태에 있는 트럼프 미 대통령과의 2차 정상회담 모색 중에 이뤄졌다며 시점에 주목했습니다. <br /> <br />AP통신은 8일이 김 위원장 생일이라는 점을 언급한 뒤 트럼프 대통령과의 정상회담 전에 시진핑 주석을 만나 입장 조율을 원했을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. <br /> <br />뉴욕타임스는 "중국이 미국과 무역전쟁 확전을 막으려 노력하는 상황에서 시 주석에게 북한에 대한 영향력을 강조할 기회를 줄 수 있다"고 전망했습니다. <br /> <br />영국 텔레그래프는 "김 위원장이 시 주석을 만나 자신의 정권에 대한 미국 주도의 가혹한 제재라는 곤란한 이슈를 제기할 것으로 예상된다"고 분석했습니다. <br /> <br />로이터 통신은 중국은 북한의 가장 중요한 경제적·외교적 후원자라며 시 주석도 곧 일정 시점에 방북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이종수[jslee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190108171453707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