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난해 취업자 증가 폭과 실업률이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는데, 특히 30대와 40대의 고용상황이 나빠졌습니다. <br /> <br />또 자영업자와 임시·일용근로자가 큰 타격을 받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. <br /> <br />홍남기 부총리는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며 일자리 확대에 전력투구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오인석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130여 개 공공기관의 채용정보를 한 자리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박람회장입니다. <br /> <br />한발 빠른 취업을 희망하는 고등학생과 구직 활동이 한창인 20대가 대부분인 가운데, 30~40대도 눈에 띕니다. <br /> <br />[김용희 / 경기도 군포시 금정동 : 중소기업에서 일하면서 느꼈던 것이 아무래도 안정성이나 또 공공성에 부합하는 일을 하기에는 어렵다고 생각했고, 늦은 나이라도 다시 취업하고 싶어서….] <br /> <br />지난해 보건 복지와 공공행정, 정보통신 업종의 취업자 수는 1년 전보다 20만 명 넘게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제조업과 도소매업, 음식숙박업은 고용 부진의 '직격탄'을 맞았습니다. <br /> <br />도매와 소매업 취업자는 7만 명 이상 줄었고, 숙박·음식점업은 4만 5천 명 감소했습니다. <br /> <br />파견 인력이 많은 사업시설관리와 임대서비스 업종도 6만 명 이상 줄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자동차와 조선 등 주력산업의 구조조정 등으로 비교적 질이 좋은 일자리로 평가받는 제조업 취업자는 1년 전보다 5만 6천 명 감소하며 3년 연속 취업자가 뒷걸음질 쳤습니다. <br /> <br />연령대별로는 30대와 40대 취업자 수가 1년 전보다 각각 6만 천 명, 11만 7천 명 감소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40대 취업자 수는 지난 1991년 이후 27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줄었습니다. <br /> <br />자영업자의 타격이 커, 지난해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의 경우, 8만 7천 명이 감소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 상용근로자는 34만 명 이상 증가한 반면, 임시근로자와 일용근로자는 20만 명 가까이 취업자가 줄었습니다. <br /> <br />홍남기 부총리는 고용 부진에 대해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며 올해 정부의 목표인 15만 개 일자리 창출에 전력투구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[홍남기 /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: 민간부문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 투자를 대폭 확대하겠습니다. (올해는) 성과를 내야 할 중요한 시기입니다. 그 핵심은 일자리 창출입니다.]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미·중 무역갈등과 반도체 수출 둔화 등 나라 안팎의 경제 상황에 비춰 볼 때 고용 개선이 쉽지만은 않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백흥기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190109191705981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