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국 정부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중국 방문이 마무리된 뒤에도 공식 대응을 거듭 자제했습니다. <br /> <br />북미 협상에 유리한 국면을 모색하는 것으로 보이는데, 중국을 방패막이 삼은 북한이 조만간 미국과의 고위급 회담부터 나설지 주목됩니다. <br /> <br />워싱턴에서 김희준 특파원이 취재했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27시간의 짧은 체류 기간이었지만 북중 혈맹을 과시하기에 충분했던 김정은 위원장의 중국 방문. <br /> <br />미국 정부는 여전히 말을 아끼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국무부는 김 위원장의 방중 결과에 대한 논평 요청에 "중국에 문의하라"는 입장만 되풀이했습니다 <br /> <br />백악관 역시 공식 대응을 자제했습니다. <br /> <br />2차 북미정상회담 전망에 대해서도 트럼프 대통령 언급 외에 덧붙일 말이 없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북한과 물밑 접촉을 이어가고 있지만 진전 사항을 발표할 단계는 아니라는 것으로 해석됩니다. <br /> <br />[도널드 트럼프 / 미 대통령 (지난 7일) : 장소를 협의 중입니다. 조만간 발표할 것입니다.] <br /> <br />이런 가운데 폼페이오 국무장관과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이 조만간 회담할 것이란 전망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11월 초 뉴욕 고위급 회담을 돌연 취소한 북한이 중국과 일종의 작전 회의를 마친 뒤 미국과 본격 담판에 나설 것이란 관측에서입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5월에도 김 위원장의 2차 중국 방문에 이은 폼페이오 장관의 평양행, 북미정상회담 발표가 도미노처럼 이어진 바 있습니다. <br /> <br />4차 북중 정상회담으로 북한이 대미 협상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했다는 분석도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NBC 방송은 궁지에 몰린 쪽은 트럼프 대통령이라며, 북한은 그가 1차 정상회담에서 돌연 한미훈련 중단을 발표한 것처럼 2차 회담에서도 충동적인 양보를 기대할 수 있다고 보도했습니다. <br /> <br />워싱턴에서 YTN 김희준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190110070442477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