그제(14일) 싱가포르에서 열린 한일 장성급 실무 회의에서 우리 측은 일본의 위협 비행에 대해 강력히 항의했다고 전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 갈등을 촉발한 레이더 주파수 공개 문제에 대해서는 제3의 전문 기구를 통한 검증을 제안했지만, 일본은 즉답을 피했습니다. <br /> <br />강정규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달 20일, 한일 중간 수역, <br /> <br />북한 어선을 구조하던 우리 해군과 해경 함정 위로 일본 초계기가 접근합니다. <br /> <br />8자를 그리며 11분 동안 주변을 맴돌던 일본 초계기는 항공 관례상 금지된 3가지 행위를 어겨가며 위협 비행을 했습니다. <br /> <br />함선 쪽으로 진격하는 비행, 모의 공격 비행, 뱃머리를 가로 지르는 비행 등입니다. <br /> <br />싱가포르에서 열린 한일 장성급 실무회의에서 우리 측은 이 같은 위협 비행에 대해 강력히 항의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일본 측은 민항기에 적용되는 고도 150m, 거리 500m 기준을 고집하며 자신들은 선을 지켰다고 우겼습니다. <br /> <br />그럼 우리도 같은 방식으로 비행해도 되겠느냐고 반문하자, 일본은 항의하지 않겠다고 대답했다가 그것이 공식 입장은 아니라며 한발 물러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일본은 당시 초계기에 맞았다는 사격 통제 레이더의 주파수 정보를 공개하는 조건으로 우리 해군 함정의 레이더 주파수 전체를 내놓으라는 상식 밖의 요구도 서슴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우리 군은 이를 넘겨주면 향후 작전에 중대한 차질이 생길 수 있다며 제3의 전문 기구를 통한 검증 방식을 역제안했습니다. <br /> <br />[최현수 / 국방부 대변인 : 대단히 무례한 요구고, 사안 해결의 의지가 없는 억지 주장이라고 보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싱가포르까지 건너가 10시간 동안 계속된 장성급 회의도 이렇다 할 결론 없이 끝나면서 당분간 해법을 찾기는 쉽지 않을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YTN 강정규[live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190116191849087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