어획량이 크게 줄어 '금(金)징어'로 불렸던 오징어가 최근 동해안에서 많이 잡히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대부분 새끼 오징어들이어서 씨가 마른 명태의 전철을 밟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송세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이른 새벽 강릉 주문진항, <br /> <br />오징어를 가득 싣고 돌아온 배들로 북적입니다. <br /> <br />경매가 시작되고, <br /> <br />"18호 13등! 3만2천6백 원에 열 개!" <br /> <br />싱싱한 오징어는 전국 각지로 팔려나갑니다. <br /> <br />최근 2주 동안 동해안에서 잡힌 오징어는 743톤으로 지난해보다 4배 가까이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동해 연안 수온이 높게 유지돼 오징어 어장이 폭넓게 형성됐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[어민(음성변조) : 2천 마리∼3천 마리씩 잡혀요. (하루에요?) 네, 하루에요.] <br /> <br />그런데 위판장에 올라온 오징어 절반 이상은 몸길이가 20cm 이하인 새끼 오징어, 이른바 '총알 오징어'입니다. <br /> <br />어획량이 줄면서 귀한 몸이 되자, 새끼 오징어까지 시장에 풀린 겁니다. <br /> <br />1990년대 25만 톤에 달했던 국내 오징어 어획량은 갈수록 줄면서 지난 2017년에는 8만 톤까지 뚝 떨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북한 수역에서 싹쓸이 조업하는 중국 어선과 기후 변화 등이 원인으로 지목됩니다. <br /> <br />문제는 지금부터입니다. <br /> <br />새끼 오징어까지 무분별하게 잡다 보면 명태처럼 멸종 위기에 처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명태는 지난 1971년 새끼 명태인 '노가리' 포획이 허용되면서 결국, 씨가 말랐습니다. <br /> <br />[김중진 / 국립수산과학원 연구사 : 오징어는 20cm 이상으로 성장해야 산란할 수 있는데, 이보다 작은 오징어를 대량으로 어획하게 되면 자원 감소에 직접적인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.] <br /> <br />논란이 되자 해양수산부는 오징어 포획 금지 크기를 기존 12cm에서 19㎝ 이하로 늘리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송세혁[shsong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190122013622506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