정부가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 사업을 23개로 확정했습니다. <br /> <br />철도와 도로, 국제공항 등을 건설하는 데 모두 24조 천억 원이 투입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김평정 기자! <br /> <br />지자체마다 숙원 사업을 신청한 만큼 결과에 관심이 쏠렸는데 23개 사업이 선정됐군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정부가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 대상으로 23개 사업을 선정했습니다. <br /> <br />사업비로 24조 천억 원을 투입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애초 17개 시도에서 32개 사업에 68조 7천억 원을 요구한 상태였습니다. <br /> <br />예비타당성 면제 대상을 구체적으로 보면 철도와 도로 확충에 5조 7천억 원, 광역 교통망 구축에 10조 9천억 원이 투입되는 등 사회간접자본 건설사업이 상당수 선정됐습니다. <br /> <br />도로는 세종∼청주 고속도로와 부산신항∼김해 고속도로, 그리고 남양주와 춘천을 잇는 제2 경춘국도 등이 포함됐습니다. <br /> <br />철도는 평택∼오송 간 고속철도 복복선화와 포항과 동해를 잇는 동해선 철도 전철화, 그리고 충남 당진의 석문산업단지 인입 철도 등이 확정됐습니다. <br /> <br />전북 지역의 숙원사업인 새만금 국제공항 건설도 선정됐고, <br /> <br />수도권은 도시철도 7호선을 포천까지 19km 연장하는 사업과, 영종도와 신도 두 섬을 잇는 3.5km 다리 건설 등 접경지역에 한해 포함됐습니다. <br /> <br />제주에서는 하수처리시설 현대화 사업이 확정됐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지자체의 숙원사업이 대거 포함된 거 같은데, 이렇다 보니 선심성 정책이다, 국가 재정 낭비다 이런 비판도 나오고 있죠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정부도 그런 비판을 의식해서인지 이번 정책을 '국가균형발전 프로젝트'란 이름으로 발표했습니다. <br /> <br />경제성이 다소 떨어지더라도 지역균형발전을 위해 사업을 추진한다는 명분을 앞에 내세운 건데요. <br /> <br />그러면서 거제와 김천을 잇는 남부내륙철도처럼 지역산업이 극심한 부진을 겪는 거제와 통영, 울산, 그리고 군산과 목포를 우선 고려한 점도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광역급행철도 GTX 같은 수도권의 사업은 배제하고 낙후된 접경지역의 사업만 선정한 것도 중요한 대목이라고 전했습니다. <br /> <br />기반시설도 2개 이상 시도를 연결하는 광역 교통망을 주로 건설해 앞으로 활용도에 중점을 뒀다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홍 부총리는 이번 사업이 앞으로 10년 동안 1년에 1조 9천억 원가량 소요되는 사업이라 국가 재정에 큰 부담이 되지는 않는다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정부의 이런 설명에도 시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190129115110571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