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진행 : 이승민 앵커 <br />■ 출연 : 배상훈 / 前 서울경찰청 범죄심리분석관, 최단비 / 변호사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마지막 이슈로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. 갑질 반응으로 사회적인 논란을 일으켰었죠. 한진그룹 조양호 회장의 부인 이명희 씨의 공소장 내용이 공개가 되면서 또다시 공분이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내용을 보면 뭔가 집어던지는 그런 경우가 가장 많았다고 하죠? <br /> <br />[최단비] <br />맞습니다. 집어던지는 내용의 공소장의 내용을 보면 첫 번째로는 음식 재료를 충분히 사놓지 않았다라고 하면서 무릎을 꿇게 한 뒤에 책을 던져서 각막에 손상을 입게 한 경우가 있었고요. <br /> <br />두 번째는 정원 작업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라고 하면서 꽃 포기를 던져서 눈에 흙이 들어가게 한 경우가 있었고 마지막으로는 집에 본인이 생각하는 바와 달리 몰래 들어왔다라고 하면서 10cm 길의 가위를 던졌다라고 설명합니다. <br /> <br />가위 같은 경우에는 흉기에 해당되기 때문에 이 가위를 던진 부분은 앞서와는 달리 좀 더 중하게 볼 수가 있겠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그런데 이런 물건들을 던지는 것뿐만 아니라 직접 발로 차서 상대를 다치게 한 경우도 상당수 있었다면서요? <br /> <br />[배상훈] <br />심리학, 범죄심리학계에서는 퇴행적인 형태로 얘기합니다. 왜냐하면 자기가 극단적인 스트레스를 받았을 경우 굉장히 앞쪽 단계에서의 행위가 암시가 되는 단계에서. <br /> <br />저 보이는 행동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어린아이들이나 하는 행동 아니겠습니까? 뭘 던지거나 뭘 차거나 투정부리는 거지 않습니까. <br /> <br />그런 과거가 리콜되는 형태. 행위는 사실은 암시적으로 리콜된다고 합니다. 그렇기 때문에 퇴행적으로 얘기를 표현하는 거고 당연히 저건 범죄가 되는 거고요. <br /> <br />그런데 그런 부분이 왜 그랬을까에 대해서 따져보면 물론 이 경우는 어떨지는 모르겠지만 보통의 경우는 어렸을 때 비슷한 형태를 당한 경우가 많다고 얘기를 합니다. <br /> <br />그래서 그거 때문에 그런 행위가 리콜이, 그러니까 회상이 된다는 얘기를 하는데요. 아무리 그렇다 하더라도 타인한테 저런 행동은 절대 안 되죠. <br /> <br /> <br />일반적으로는 과거에 뭔가 그런 행위를 본인이 당했기 때문에 그대로 답습해서 하는 행동들일 수 있다는 것인데 물론 이명희 씨의 경우는 그런지 안 그런지는 좀 더 살펴봐야 되는 부분이 있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190131095801731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