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국이 북한 비핵화 시간표에서 좀 더 유연해졌다는 신호가 감지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2차 북미정상회담을 앞두고 다음 주 열릴 북미 실무회담에서 진전된 접점을 찾을지 기대가 모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워싱턴에서 김희준 특파원이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사] <br />비건 대북정책 특별대표의 첫 공개 강연은 북미 담판에 앞서 작심하고 보낸 대북 메시지였습니다. <br /> <br />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목표는 분명히 했지만, <br /> <br />[스티븐 비건 /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 : 핵심 핵시설에 대한 전문가의 접근과 검증에 북한과 합의해야 합니다. 궁극적으로 (핵분열 물질과 무기 등) 제거와 파괴를 담보해야 합니다.] <br /> <br />북한이 원하는 상응 조치의 실행과 체제안전 보장 의지도 재확인했습니다. <br /> <br />[스티븐 비건 /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 : 트럼프 대통령은 종전(선언)할 준비가 돼 있습니다. 우리는 북한을 침공하지 않을 겁니다. 체제 전복도 추구하지 않습니다.] <br /> <br />더욱이 '포괄적 핵 신고'를 비핵화 초기 단계가 아닌 비핵화 완료 전 '일정 시점'으로 미뤘습니다. <br /> <br />비핵화의 첫 단계로 모든 핵무기와 시설 목록 제출을 요구해 온 미국과 이에 맞서 반발해온 북한 사이 협상의 걸림돌을 제거한 셈입니다. <br /> <br />뉴욕타임스는 "미국이 북한의 핵시설 목록신고 시점에서 유연해졌다"고 해석했습니다. <br /> <br />1차 북미정상회담 이후 양국 관계를 가로막았던 장애물 하나를 없앤 것이란 설명입니다. <br /> <br />다만 비건 대표는 김정은 위원장이 플루토늄과 우라늄 농축시설 폐기에 더해 추가 이행 의사를 밝힌 점을 환기하며 북한에 다시 공을 던졌습니다. <br /> <br />북미가 다음 주 비건-김혁철 라인의 본격적인 실무협상을 앞둔 상황. <br /> <br />"핵무기가 북한을 떠나고 제재가 풀리며 대사관에 미국 국기가 걸리는 결말을 그린다"는 비건 대표의 청사진에 북한이 어떻게 호응해 올지 주목됩니다. <br /> <br />워싱턴에서 YTN 김희준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190202140743029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