스티븐 비건 미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는 지난 1993년 5월부터 북한과 비핵화 협상을 담당한 로버트 갈루치 국무부 차관보 이후 9번째 미국 정부 협상 대표입니다. <br /> <br />비건 대표는 협상 성공에 대한 의지가 강하고 협상 환경도 전임자들보다는 좋다는 점에서 이번 비핵화 협상에 대한 기대감도 상당히 높은 것으로 평가됩니다. <br /> <br />왕선택 통일외교 전문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스티븐 비건 특별 대표는 미국 정부가 지정한 북핵 문제 담당 협상 대표로 9번째입니다. <br /> <br />비건 대표는 트럼프 대통령 신임과 한국 정부 지원을 받고 있고, 북한 최고 지도자가 비핵화를 약속한 상황이라서 과거 어느 협상 대표보다도 여건이 좋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로버트 칼린 / 미 스탠퍼드 대학교 아태연구소 객원연구위원 : 비건 대표를 질투하는 마음이 생기네요. (비핵화) 진전 가능성에 대한 기회가 역대 최고 수준이기 때문입니다.] <br /> <br />비건 대표 역시 상대적으로 좋은 여건에서 협상을 하고 있다는 인식과 협상 성공에 대한 강한 의지를 감추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스티븐 비건 / 미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 : 지금이 기회이고, 지금이 바로 그 순간입니다.] <br /> <br />미국은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싱가포르에서 보여준 비전을 현실로 만들기 위한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. <br /> <br />비건 대표 전임자 8명은 모두 미국이나 한국, 또는 북한의 국내 정치 변동에 따라, 협상 성과가 무산되는 과정을 겪었습니다. <br /> <br />최초 대북 협상 대표인 로버트 갈루치 미 국무부 정무 차관보는 1994년 핵 동결 협상을 타결했지만, 합의는 2002년 공화당 정부에 의해 파기됐습니다. <br /> <br />윌리엄 페리 대북 정책 조정관도 1998년 11월 임명돼 포괄적인 북한 문제 해결책인 페리 프로세스를 출범시켰지만, 공화당 정부에 의해 폐기됐습니다. <br /> <br />2001년 임명된 제임스 켈리 동아태 차관보는 당시 대북 강경 정책을 추진한 네오콘 세력의 기세에 눌려 북한과 대화를 나누지도 못했습니다. <br /> <br />크리스토퍼 힐 차관보는 9.19 공동성명을 채택했지만, 미국 내 강경파가 검증에 집착하면서, 6자회담이라는 협상틀이 무너지는 상황을 피하지 못했습니다. <br /> <br />2009년, 버락 오바마 행정부 들어서 새로 만든 대북정책 특별대표 자리에 스티븐 보즈워스 전 대사가 임명됐지만 남북관계가 충돌하는 시기여서 북한과 협상할 기회를 찾지 못했습니다. <br /> <br />6대 협상 대표인 글린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190209020448291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