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번 2차 북·미 정상회담 의제에 종전선언이 포함될 가능성이 있다고 청와대가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남·북·미 3국이 아니라 북한과 미국만의 종전선언도 비핵화를 앞당기는 차원이라면 환영한다는 입장입니다. <br /> <br />취재 기자 연결합니다. 김도원 기자! <br /> <br />청와대가 2차 북미정상회담에서 종전선언이 이뤄질 가능성이 있다고 밝힌 것은 처음이지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금까지 청와대는 북미 회담 전망을 언급할 때 굉장히 조심스러운 입장이었는데, 오늘은 분위기가 달랐습니다. <br /> <br />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오늘 정례 브리핑에서 형태는 알 수 없지만 북한과 미국이 종전선언에 합의할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다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꼭 남북미 3자나 남북미중 4자가 참여하는 게 아닌, 북미 만의 종전선언이라도 비핵화를 촉진하는 것이라면 충분하다는 입장입니다. <br /> <br />6·25 전쟁에 참여했던 나라 가운데 국교가 없는 나라는 미국과 북한뿐인 만큼, 이들 둘만 종전을 선언하면 실질적으로 효과가 있다는 설명입니다. <br /> <br />다만 김 대변인은 평화협정의 경우 다자간 논의가 필요하고, 복잡한 조항을 다루기 때문에 비핵화의 마지막 단계에서 이뤄질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북미 정상회담이 임박한 가운데 나온 전망인데요. <br /> <br />북미 간의 실무협의 내용을 반영한 것이라고 봐도 좋을까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북미 정상회담이 임박한 가운데 청와대가 종전선언 가능성을 언급했습니다. <br /> <br />북미 간의 실무 협상에서 이에 관해 상당한 진전이 있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됩니다. <br /> <br />앞서 청와대는 이달 초에 문재인 대통령이 베트남 북미 정상회담에 합류해 남북미 3자 종전선언을 할 가능성이 거론되자 부인했습니다. <br /> <br />회담 의제에 종전선언이 포함될 것인지에 대해서도 부정적으로 봤는데, 기류가 바뀌었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대해 김 대변인은 당시에도 문 대통령의 베트남 합류 가능성을 부인한 것이지 종전선언 가능성 자체를 부인하지는 않았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와 함께 미국이 발행한 2차 북미정상회담 기념주화에 문재인 대통령의 이름과 태극기가 포함돼서 화제가 됐는데요. <br /> <br />김 대변인은 문 대통령이 이번 2차 북미 정상회담에 참석하진 않지만 중재자, 촉진자의 면모를 인정한 것으로 본다고 평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금 문 대통령은 수석·보좌관 회의를 주재하고 있는데요, 이 자리에서 곧 있을 북미 정상회담 전망과 우리 정부의 입장에 관한 메시지가 나올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190225141312317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