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NYT "北, 1차 북미회담 뒤 핵무기 6개 제조" / YTN

2019-03-11 62 Dailymotion

미국 정보당국은 북한이 1차 북미정상회담 이후에도 핵미사일 프로그램을 계속 진행해 핵무기 6개 정도를 제조한 것으로 파악했다고 뉴욕타임스가 보도했습니다. <br /> <br />트럼프 대통령은 이 같은 보고를 받아왔지만 북미협상을 고려해 부드러운 태도를 취해왔다는 것입니다. <br /> <br />이동우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해 6월 싱가포르에서 1차 북미 정상회담이 열린 이후 8개월 동안 북한의 핵미사일 프로그램은 계속 진행됐으며 미 정보당국은 이를 트럼프 대통령에게 계속 보고했다고 뉴욕타임스가 보도했습니다. <br /> <br />뉴욕타임스는 싱가포르 북미정상회담 이후부터 지난달 말 2차 북미정상회담 때까지 북한이 핵무기 6개 정도를 제조했다는 것이 정보기관의 판단이라고 전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북미 협상을 고려해 그동안 대외적으로 북한에 대해 부드러운 태도를 취했다는 것입니다. <br /> <br />실제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8일 2차 북미정상회담을 마친 뒤 기자회견에서 북한 핵의 실상과 관련해 정확히 알고 있다는 점을 분명히 했습니다. <br /> <br />[트럼프 대통령 / 미국 대통령 (지난달 28일) : 김정은은 비핵화를 원합니다. 하지만 북한은 우리가 원하는 지역보다 덜 중요한 지역에서 비핵화하기를 원합니다. 우리는 북한을 매우 잘 압니다. 속속들이 알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뉴욕타임스는 특히 서해 동창리 미사일 발사장과 풍계리 핵실험장도 기존 시설을 유지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. <br /> <br />1차 정상회담 이후 서해 동창리 미사일 발사장 위성사진을 자세히 분석한 전문가들은 해체의 증거는 찾지 못하고 오히려 발사대 주변의 단지가 확대된 점을 발견했다는 것입니다. <br /> <br />뉴욕타임스는 일부 전문가들은 북한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약속했던 것과 달리 핵과 미사일 실험 중단을 끝내지 않겠느냐는 우려를 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의 북한 전문매체 등은 최근 동창리 미사일 발사장이 정상가동 복구된 것으로 보이며 평양 외곽 미사일 종합 연구단지에서도 미사일 발사와 관련된 것으로 추정되는 움직임이 포착됐다고 잇따라 보도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이동우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190311090539908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