정부가 생산과 투자, 소비 등 주요 경제 지표들이 개선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세계 경기 둔화 등 불확실한 요인도 상존 하고 있다고 진단했습니다. <br /> <br />반면,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 KDI는 경기 지표와 관련해 다른 해석을 내놓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보도에 오인석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기획재정부는 최근 경제동향 3월호를 통해 우리 경제에 긍정적인 요소가 나타나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주요 산업활동과 경제 심리 지표 개선 등 긍정적 모멘텀이 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소비자 심리는 3개월 연속 개선됐고, 기업 심리도 실적과 함께 전망이 크게 상승했다고 평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, 1월 들어 산업생산이 전월대비 증가했으며, 견실한 소비 흐름이 이어지고, 투자도 증가로 전환됐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투자의 경우, 한달 전만 해도 조정을 받고 있다는 평가를 내놨던 정부 입장이 바뀐 겁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앞서 KDI는 투자와 수출 부진을 중심으로 경기가 둔화 되는 모습을 지속하고 있다는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서 관련 선행지표도 투자의 둔화 추세가 당분간 지속 될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고 했습니다. <br /> <br />KDI는 정부와 달리 민간소비의 증가세가 미약한 것으로 판단했습니다. <br /> <br />경제전문가들은 경제 정책을 결정하고 집행하는 정부와 정책을 지원하는 KDI가 서로 다른 경기 판단을 할 수 있다면서도 기업이나 투자자 입장에서는 정확한 경기 진단을 필요로 한다고 지적합니다. <br /> <br />한편, 정부는 세계 경제 성장 둔화 우려를 비롯해 반도체 업황과 미·중 무역갈등, 브렉시트 등 우리 경제에 불확실성이 상존 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위험요인을 관리하면서 경제의 역동성과 포용성 강화를 위한 과제들을 속도감 있게 추진해 나가겠다는 게 정부의 방침입니다. <br /> <br />YTN 오인석[insukoh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190316054854250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