김학의 전 법무부 차관의 성 접대 의혹을 둘러싼 논란이 다시 확대되고 있지만, 진상 조사는 당사자의 소환 불응 등으로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대검 진상조사단의 활동 기간을 연장해 확실한 진상 규명을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강희경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세간을 떠들썩하게 했던 김학의 전 법무부 차관의 성 접대 사건이 다시 한 번 논란의 중심에 섰습니다. <br /> <br />디지털 증거 3만 건이 누락된 정황이 포착됐고, 윤중천 씨가 한상대 전 검찰총장에게 수천만 원을 건넸다는 진술도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박근혜 정부 청와대가 관련 동영상을 파악하고도 김 전 차관 임명을 강행한 배경엔 최순실 씨가 있다는 의혹까지 불거졌습니다. <br /> <br />밝혀져야 할 게 산더미인데, 정작 당사자인 김 전 차관은 진상조사단 소환에 불응하는 등 묵묵부답입니다. <br /> <br />그러는 사이 시간은 계속 흘러, 어느덧 이번 달 말이면 재조사 활동의 기한이 종료됩니다. <br /> <br />진상조사단이 과거사위에 기한을 연장해달라고 요구했지만, 받아들여지지 않았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조사단은 다시 기한 연장을 요청할 방침입니다. <br /> <br />조사단 관계자는 과거 검찰이 수사는커녕 수사 고민조차 하지 않았다며, 단순히 김 전 차관을 불러 조사하는 정도로 끝낼 사안이 아니라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어 연장 요청이 다시 한 번 거부된다면, 어설픈 결론을 내 역사의 죄인이 되느니 결과 보고서 자체를 내지 않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도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이른바 '장자연 리스트' 사건 재조사는 예정대로 이번 달 안에 마무리 지을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다만 과거사위 한 위원이 임우재 전 삼성전기 고문 관련 내용을 보고서에서 삭제하자고 요청한 사실이 알려지는 등 잡음은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강제수사권이 없다는 한계를 딛고 조사단이 어떤 결과를 내놓을지, 철저한 진상 규명을 촉구하는 국민적 관심이 어느 때보다 뜨겁습니다. <br /> <br />YTN 강희경[kanghk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190317163843464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