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난달 하노이 정상회담 결렬 이후 북·미 간 냉각 기류가 확산하는 상황인데요. <br /> <br />청와대는 북한과 미국 모두 과거 같은 대결 구도로 회귀하지는 않을 거라고 내다봤습니다. <br /> <br />또 북한의 비핵화 최종 목표와 그 도달 방식에 대해선 한미 간 이견이 없다면서도, '전부 아니면 전무' 전략에 대해서는 다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취재 기자 연결합니다. 임성호 기자! <br /> <br />그제 최선희 북한 외무성 부상이 미국과의 대화 중단을 시사하는 기자회견을 했었는데요. <br /> <br />오늘 청와대가 현재 상황을 설명했군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그렇습니다. <br /> <br />회담 회담이 결렬된 이후 북미 간 상황에 대해서 청와대의 판단을 설명한 것입니다. <br /> <br />하노이 회담 결렬 이후에도 북·미 간 대화 의지는 분명하다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양측 모두 이전과 같은 대립과 갈등으로 회귀하는 건 원치 않고 있다고 설명했는데요. <br /> <br />또 비록 하노이 회담이 결렬됐지만 완전한 비핵화, 또 완전한 제재 해제가 목표라는 것을 양측이 재확인했다는 의미가 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또 하노이 회담을 통해서 북미 양측이 서로가 생각하는 비핵화 방식에 대해서 이해를 했다고 덧붙였습니다. <br /> <br />이 관계자는 그러나 전부 아니면 전무전략은 이번 비핵화 전략에서 재고할 필요가 있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외에도 이 관계자는 하노이 회담의 합의 무산으로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국내 정치 상황에 일부 도움이 된 것 같다고 평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 북측으로서도 빈손으로 귀국한 데 따른 정치적인 어려움이 있을 거라고 추정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문재인 대통령도 북한과 미국이 대화 궤도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언급했는데, 앞으로 북·미 대화를 어떻게 중재해 나갈지에 대한 설명도 있었나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이에 대해서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북미 협상의 지연이 장기화될수록 불확실성도 확대된다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서 미국도 실무협상을 조기에 재개하는 것을 희망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또 남북미 3국 정상이 유대와 신뢰감을 바탕으로 대화를 유지한다는 방침을 가지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 관계자는 그러면서 하노이 회담의 합의 불발 그리고 또 이 합의 불발이 톱다운 방식의 실패라고 언급하는 것은 성급하다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 북한의 체제 특성상 김정은 위원장만이 이 비핵화에 대한 결단을 할 수 있는 것이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190317180212953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