자유한국당을 뺀 여야 4당이 추진하던 선거제도 개편과 연계 법안 패스트트랙 추진 논의가 동력을 잃은 분위기입니다. <br /> <br />4·3 보궐선거의 후폭풍과 당 내부 사정 등으로 좌초될 상황인데, 내년 총선 선거구 확정 법정시한까지 열흘도 채 남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조은지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선거제도 개편에 앞장섰던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인사들은 여전히 희망을 버리지 않는 눈치입니다. <br /> <br />[심상정 / 국회 정개특위 위원장·정의당 : (됩니까, 안 됩니까? 패스트트랙에 올리는 거?) 포기하지 않겠습니다.] <br /> <br />[김종민 / 국회 정개특위 더불어민주당 간사 : 저는 뭐 늘 된다고 얘기하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하지만 각자의 '집안 사정'과 맞물리면서 여의도에서는 패스트트랙 비관론이 대세입니다. <br /> <br />가장 큰 변수는 바른미래당의 내홍. <br /> <br />이미 선거제도 개편 패스트트랙 처리를 놓고 옛 국민의당과 바른정당계 출신이 충돌한 데 이어 4·3 보궐선거 참패로 지도부 사퇴론이 불거지며 내부 갈등이 폭발한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[이찬열 / 바른미래당 의원 : 깨끗하게 갈라서서 제 갈 길을 가는 것이 저는 서로를 위해 바람직하다고 생각합니다…우리가 왜 같이해야 합니까.] <br /> <br />패스트트랙의 또 다른 축인 민주평화당과 정의당 역시 신경전에 한창입니다. <br /> <br />창원 성산에서 당선된 여영국 의원을 지렛대 삼아 공동 교섭단체를 꾸릴 거라는 전망이 많았지만, 민주평화당에서 반대 목소리가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[최경환 / 민주평화당 의원 : 한 명이라도 다른 의견이 있다면 그 문제가 논의가 안 되는 상황입니다…성급하게 결론 내릴 일이 아니다….] <br /> <br />바른미래당 파열음을 신호탄으로 민주평화당과 연대·통합하는 '제3 지대론'과 자유한국당과 끌어안는 '보수 빅텐트' 등 야권 정계개편론이 수면 위로 떠오르면서, <br /> <br />패스트트랙 논의는 뒷전으로 밀린 분위기입니다. <br /> <br />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바른미래당이 패스트트랙의 조건으로 내건 기소권 없는 공수처법에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며 관망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지역구 의원 숫자가 줄어드는 것을 놓고 여당 내 일부 반대 기류도 있는 상황에서 임기가 한 달 남은 홍영표 원내대표도 쉽사리 합의에 나서기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입니다. <br /> <br />자유한국당 역시 여야 4당의 연대를 '야합'으로 비판하며 줄곧 독자노선을 걷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장제원 / 국회 정개특위 자유한국당 간사 : 정략과 야합의 음습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190407180555020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