5세대 이동통신, 즉 5G 서비스가 지난 3일 '세계 최초'로 상용화됐죠. <br /> <br />그런데 이동통신망이 아직 제대로 구축이 안 돼 먹통인 곳이 많다 보니 소비자 불만이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상황이 이런데도 이동통신 업계는 가입자 끌어모으기에만 혈안이 돼 불법 보조금이 판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김현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5세대 이동통신, 5G 서비스에 가입한 김찬빈 씨! <br /> <br />게임과 초고화질 동영상 시청 등을 좀 더 빠르게, 끊김 없이 이용하기 위해서였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김 씨의 이런 기대는 이내 실망으로 바뀌었습니다. <br /> <br />5G 망이 제대로 깔리지 않은 상태에서 상용화에 들어가다 보니 신호가 제대로 잡히지 않는 겁니다. <br /> <br />특히 5G 신호가 없는 곳은 기존 LTE로 전환하도록 설정했는데, 이 과정에서 아무 신호도 잡지 못하는 먹통상태가 빈번했습니다. <br /> <br />[김찬빈 / 5G 서비스 가입자 : (5G 통신이) 좋은 기술이고, 신기술이라고 광고를 많이 하고 나왔기 때문에 기대감을 갖고 샀던 건데, 일단 현재로서는 생각했던 것만큼 사용이 안 되다 보니 아쉬운 점이 많고요….] <br /> <br />정부와 이동통신업계는 이르면 오는 2022년 5G 전국망 구축을 완료한다는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전국의 모든 가입자가 제대로 5G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최소 3년가량 걸린다는 얘기가 됩니다. <br /> <br />'세계 최초 5G 상용화'라는 타이틀을 확보하기 위해 망 구축과 콘텐츠 확보가 부족한 상태에서 서비스를 시작했다는 비판이 쏟아지는 이유입니다. <br /> <br />사정이 이런데도 이동통신업계는 특정 지역을 중심으로 무차별적 지원금을 살포해 이용자 차별에 앞장서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130만 원대 5G 단말기에 지원금이 90만 원가량 붙어 43만 원에 살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이동통신사 판매점 점장(음성변조) : (5G) 단말기 지원금이나 보조금을 좀 더 실어서 많이(주라고 내려와요.) 통신사마다 지원금 많이 풀어서 (가입자) 유치를 많이 하려고 했었죠.] <br /> <br />방송통신위원회는 5G 관련 과열 경쟁과 불법 보조금 영업에 대해 경고했지만, 초기 대응에 소극적이었다는 비판을 피하기는 어려워 보입니다. <br /> <br />YTN 김현우[hmwy12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190417050815985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