선거제도 개편안이 패스트트랙으로 추진돼 국회 본회의에서 통과된다면 당장 1년도 채 남지 않은 내년 총선부터 적용됩니다. <br /> <br />지역구 의석이 줄고 준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에 따라 거대 양당이 손해를 보는 구조인 만큼 여야의 셈법이 복잡합니다. <br /> <br />김영수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여야 4당은 앞서 의원정수를 300석으로 유지하고 비례대표를 75석까지 늘리는 데 합의했습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비례대표를 준 연동형으로 배분하는 게 현재까지 개편안의 골자입니다. <br /> <br />[심상정 /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위원장 : 여야 4당이 합의에 이르게 된 건 무엇보다도 국민의 개혁 열망에 부응하고자 하는 결단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고 생각합니다.] <br /> <br />예를 들어 A 정당이 지역구 10석에 정당 득표율 30%를 받았다면, 먼저 전체 의석의 30%인 90석에서 이미 확보한 지역구 10석을 뺀 나머지의 절반인 40석의 비례대표를 얻게 됩니다. <br /> <br />이렇게 나누고 남은 비례대표 의석은 현행대로 정당 득표율에 따라 추가 배분하는 겁니다. <br /> <br />상대적으로 지역구보다 정당 득표율에서 선전하는 정당이 혜택을 받고 거대 양당인 민주당과 한국당은 손해를 볼 것이라는데 대체로 이견이 없습니다. <br /> <br />실제로 지난 20대 총선 결과를 대입해보면 거대 양당은 10석 이상씩 줄어듭니다. <br /> <br />사실상 거대 양당 체제에서 다당제로 개편될 가능성이 큰 만큼 여당인 민주당의 머릿속은 복잡할 수밖에 없습니다. <br /> <br />정당 득표율을 높이기 위해 지역구 의원과 비례대표 정당을 엇갈려 투표하는 이른바 분할투표 유권자를 되찾아오는 전략에 주력할 것이라는 분석이 많습니다. <br /> <br />[조성대 / 한신대학교 국제관계학부 교수 : 지역구에서 훌륭하게 싸우면서도 비례대표 명부에 올라갈 수 있는 후보자들을 발굴하는 게 우선시 돼야겠죠.] <br /> <br />이에 따라 일부 현역 의원이 아예 설 자리를 잃거나 비례대표로 나설 가능성도 있는 만큼 공천 과정의 혼란도 불가피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YTN 김영수[yskim24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190423215908999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