선거제도 개편 문제 등을 놓고 첨예하게 맞붙었던 여야가 큰 틀의 합의를 이뤄냈습니다. <br /> <br />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검토하기로 하는 등 모레 시작하는 임시국회를 앞두고 접점을 찾았는데요. <br /> <br />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. 최기성 기자! <br /> <br />여야 5당 원내대표가 잠시 전 기자회견을 열고 합의 사항 발표했는데 자세한 내용 전해 주시죠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여야 5당은 조금 전에 선거제도 개혁의 큰 틀에서 합의한 내용을 발표했습니다. <br /> <br />5당 원내대표가 발표한 합의 사항을 보면 연동형 비례제 도입을 위해서 구체적인 방안을 적극 검토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 비례대표 확대등을 정치개혁특별위원회 합의에 따르기로 합의했습니다. <br /> <br />뿐만 아니라 의원 정수 확대도 역시 정개특위에서 합의해 처리하기로 뜻을 모았습니다. <br /> <br />석패율제 같은 지역구도 완화제도도 적극 검토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 국회 정개특위 활동 시한을 연장하는 데도 합의했습니다. <br /> <br />선거제도 개혁 법안을 1월에 임시국회를 열어서 합의 처리하고 이후 선거법 개정 동시에 원포인트 개헌 논의도 시작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여야는 선거제도 개편뿐 아니라 다른 정치 현안에서도 의견 접근을 이뤘습니다. <br /> <br />사안별로 보면 채용비리 국정조사 특별위원회를 17일까지 구성하고 탄력근로제 확대 등을 경사노위 논의를 참고해서 처리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 사립유치원 개혁 법안을 적극 논의한 뒤 처리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 김상환 대법관 인사청문보고서를 채택한 뒤 표결 처리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다시 한 번 전해 드리겠습니다. <br /> <br />여야 5당은 선거제도와 관련해서 개혁의 큰 틀의 합의를 이뤘습니다. <br /> <br />합의 사항을 발표한 걸 살펴보면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을 위해서 구체적인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비례대표 확대 등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 합의에 따르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 의원 정수 확대 등은 역시 정개특위에서 합의 처리하고 석패율제 등 지역구도 완화 제도를 적극 검토하기로 합의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와 함께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의 활동 시한을 연장하고 선거제도 개혁 법안을 1월 임시국회에서 합의 처리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 선거법 개정과 동시에 원포인트 개헌 논의도 시작하기로 합의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금까지 국회에서 전해 드렸습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181215140231456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