북한이 갑자기 단거리 미사일로 보이는 발사체 발사를 감행하면서 한반도에 긴장 국면이 조성됐지만, 북한과 미국 모두 수위 조절을 하는 행보를 보여 주목됩니다. <br /> <br />우리 정부가 북한과 미국의 차분한 대응을 유도하면서 이번 사태를 안정적으로 관리하고, 나아가 전화위복의 계기로 활용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. <br /> <br />왕선택 통일외교 전문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북한이 종류가 명확하지 않은 발사체를 발사한 것은 한국과 미국을 상대로 협상 중단 등 정책 변경을 경고했다는 점에서 비상한 주목을 받았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북한은 발사체 종류를 단거리 미사일 급 이하로 제한했고, 스스로 미사일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지 않아서 저강도 압박 수준을 유지했음을 시사했습니다. <br /> <br />[북한 조선중앙TV : 경애하는 최고 령도자 동지께서는 감시소에서 구경별 화력 타격 수단들의 화력 타격 계획을 료해하시고, 대구경 장거리 방사포들과 전술유도무기의 화력 진지 진출과 전개를 비롯한 사격 준비 과정을 검열하시었다.] <br /> <br />발사체 이동 거리를 240㎞ 정도로 유지한 것도 일본을 과도하게 자극할 필요가 없다는 인식을 보여준 것으로 분석됩니다. <br /> <br />또 북한 매체들이 발사체 관련 보도 직후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발전소 건설 현장 방문 소식을 전한 것은 발사체와 관련한 일련의 행보가 일시적이라는 점을 시사한 것으로 풀이됩니다. <br /> <br />북한이 계산된 행보를 보인 것에 대해 미국도 상당히 절제된 반응으로 화답하는 모양새를 이어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트럼프 대통령이 트위터에 김정은 위원장과 협상을 이어가겠다는 입장을 명확하게 밝힌 데 이어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도 협상 국면에 변화가 없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북한이 발사한 것이 중거리 미사일급 이상이 아니고, 집중적인 관심 대상이 아니라고 언급한 것은 북한과 정면충돌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보인 것으로 평가됩니다. <br /> <br />한편 미국의 차분하고 절제된 반응은 우리 정부와 신속한 협의를 거쳐 나왔다는 점에서 주목됩니다. <br /> <br />북한 발사체 발사 이후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폼페이오 장관과 통화한 것은 자칫 위기로 확산할 수 있는 돌발 상황을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계기가 된 것으로 평가됩니다. <br /> <br />우리 정부가 한발 더 나아가 북한과 미국의 비핵화 협상을 촉진할 수 있는 구상을 발전시켜서, 이번 사태를 전화위복의 계기로 삼을 수 있을지 주목됩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190506115917446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