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난 3월부터 사실상 마비상태에 빠져 있는 사회적 대화 기구인 경제사회노동위원회가 흔들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탄력근로제 개편에 반대하는 청년, 여성, 비정규직 대표 위원의 보이콧으로 파행이 장기화되자 한국노총에서도 사회적 대화 무용론이 제기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추은호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사회적 대화기구인 경제사회노동위원회가 두 달째 개점휴업 상태를 이어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3월 7일 청년, 여성, 비정규직 대표가 탄력근로제 개편에 반대하며 보이콧을 선언하면서부터입니다. <br /> <br />회의 대신에 서면으로 안건을 의결하려던 시도도 정족수 미달로 무산됐습니다. <br /> <br />본위원회가 마비상태에 빠지다 보니 탄력근로제 개선 합의안의 승인은 물론 연금개혁 특위의 활동 기간 연장도 이뤄지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또 주 52시간제 시행을 앞두고 총파업 위기로 치닫고 있는 노선 버스업의 노동시간 단축문제를 논의할 버스운수산업위원회 설치 안건도 처리되지 못했습니다. <br /> <br />문제는 모두를 만족시키고 상황을 반전시킬 수 있을 만한 해법을 찾기가 어렵다는 것입니다. <br /> <br />탄력근로제 합의를 주도한 한국노총은 합의문을 본위원회에서 의결할 수 있도록 경사노위를 재구성하자고 요구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렇지 않으면 사회적 대화에서 발을 뺄 수도 있다며 압박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김주영 / 한국노총 위원장 : 안타깝게도 어렵게 출범한 경제사회노동위원회는 아직 작은 결실조차 맺지 못하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이로 인해 사회적 대화 무용론이 나오는 것도 잘 알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렇다고 계층별 대표를 제외한 채 본위원회를 재편하기도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계층별 대표의 반대 의견을 묵살한다면 다양한 계층을 대변한다는 경사노위의 설립 취지를 정면으로 어기게 되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경사노위는 8일 운영위원회가 예정돼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 회의에서 파행을 풀기 위한 해법을 마련할 수 있을지에 경사노위의 운명이 달려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추은호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190506143209679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