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진행 : 변상욱 앵커 <br />■ 출연 : 윤석천 / 경제평론가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미국과 중국은 워싱던 DC에서 무역협상을 시작했습니다. 협상 첫날은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한 채로 끝이 났고요. 앞으로 협상이 어떻게 진행될지 또 협상의 결과에 따라서 우리나라 경제에서는 어떤 영향을 미칠지 윤석천 경제평론가와 함께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좀처럼 진전이 없는데 잘되겠지, 잘되겠지 하면서 사실 속은 타들어갑니다. 왜 이렇게 난항을 겪는 겁니까? <br /> <br />[인터뷰] <br />사실 좀 안타깝습니다. 그런데 그럴 수밖에 없는 구조죠. 사실 트럼프 대통령은 보호무역주의를 주창하면서 대통령이 된 인물이라고까지 이야기할 수 있지 않습니까? 또 그 뒤를 뒷받침하고 있는 이번에 미중 간 무역대표로 나와 있는 로버트 라이트하이저라는 미국 무역대표 부사장이 어떻게 보면 초 강경파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심지어 중국을 거악이라고 이야기하는 사람이니까요. 또 이분의 전력을 보게 되면 1985년 유명한 미국과 일본 간의 플라자 합의 있지 않습니까? 그 협상을 갖다가 어린 나이에도 상당히 어떻게 보게 되면 주도적으로 이끌었던 인물이에요. <br /> <br />협상장에서 일본 측 대표들에게 종비행기를 날렸다거나 아니면 일본 측 대표들이 자기들의 의견을 개진할 때 계속 자기의 말만 해서 어떻게 보면 일본을 갖다가 무시하거나 경멸하는 태도를 보임으로 해서 결국은 플라자협상을 어떻게 보면 미국 측 입장에서 보면 성공적으로 이끌었다고 이야기할 수가 있겠죠. 하긴 그래서 일본 같은 경우에는 그때부터 지금까지 어떻게 보면 잃어버린 20년으로 그렇게 떠밀리고 있는 겁니다. <br /> <br />사실 그런데 그런 인물들이 중국을 갖다가 1980년대에 일본처럼 생각하고 있는 거거든요. 자신들의 경제 패권의 가장 큰 위협이 될 수 있는 나라를 중국을 이야기하고 있고요. 반면에 중국은 이번 기회에 만약에 일본처럼 꺾이게 되면 사실은 다시는 경제 패권을 쥘 수 없는 게 물론이고 궁극적으로 시진핑 체제 자체도 어떤 위기에 처할 수 있는 개연성이 있다는 거죠. 따라서 두 나라의 협상은 대부분의 전문가들이 예상하기에는 사실은 서로가 건 널 수 없는 강을 건너려고 하는 시도로 보이는 거고요. <br /> <br />그럼에도 불구하고 타결이 아니라 봉합수술로 갈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190510200609094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