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중 무역협상은 미국이 높은 관세를 부과한 뒤에도 협상의 문이 열려 있는 '이상한 상황'입니다. <br /> <br />이런 가운데 중국은 미국의 과도한 자국산 제품 구매 요구도 수용할 수 없다고 밝혀 협상 재개에는 시간이 걸릴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베이징에서 강성웅 특파원이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주 워싱턴 협상이 '노딜'로 끝난 뒤 중국의 류허 부총리는 새로운 미타결 쟁점을 털어놨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산 제품의 구매와 관련해 액수가 처음과는 크게 차이가 난다는 것입니다. <br /> <br />[류허 / 중국 부총리 : (양국 정상이 지난해 12월) 아르헨티나 정상회담 때 (구매액의) 숫자에 대해 잠정적으로 공감대를 형성했는데, 그 숫자에 대해 지금은 서로 다른 견해를 가지고 있습니다. 이것은 매우 심각한 것이어서 쉽게 해결할 수 없습니다.] <br /> <br />중국은 지난해 말 정상회담 때 미국에 1조 달러 의 구매를 제안했다는 보도가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이를 통해 6년 안에 대미 무역흑자를 '제로'로 만들겠다는 것입니다. <br /> <br />중국은 그동안 미국산 콩의 수입을 늘리고 항공기 구매도 약속했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은 그러나 이번 협상에서 중국이 수용하기 어려운 액수를 들고나온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류 부총리는 협상 타결시 관세 폐지, 합의문 변경 과 함께 구매액수 차이를 3대 쟁점으로 꼽았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산 제품 구매 규모는 중국이 협상 카드로 꺼낸 것일 수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그것도 다른 두 쟁점에서 견해차가 어느 정도 해소돼야 가능한 얘기입니다. <br /> <br />때문에 극적인 돌파구를 찾지 못한다면 협상 재개에 시간이 걸릴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YTN 강성웅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190512223428310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