버스 파업을 앞두고 더불어민주당은 대화를 통해 갈등을 풀겠다면서 앞으로 대중교통 수단은 준공영제를 도입하겠다고 대책을 제시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야당은 문재인 정부의 섣부른 주 52시간 시행으로 버스 대란이 벌어지게 됐다면서 비판하고 나섰습니다. 김영수 기자! <br /> <br />버스 파업이 코앞으로 다가왔는데요. <br /> <br />정치권 반응 전해주시죠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먼저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대화를 강조하면서 노사가 조금씩 양보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이해찬 대표는 전체 대중교통에 준공영제를 도입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추진하겠다며 향후 대책도 내놨습니다. <br /> <br />[이해찬 / 더불어민주당 대표 : 앞으로는 전체적으로 대중교통 수단은 준공영제를 실시하는 쪽으로 당의 정책 방향을 잡아야 할 것 같습니다.] <br /> <br />하지만 자유한국당은 주 52시간 근무제 도입의 부작용으로 버스 대란은 예견된 사태였다고 강도 높게 비판했습니다. <br /> <br />국회 국토위 소속 한국당 의원들은 버스요금 인상 압박과 버스기사 임금 손실분에 대한 보전이 정부 대책의 전부라면서 결국 서민 부담만 커진다고 지적했습니다. <br /> <br />나경원 원내대표도 정부가 버스 요금을 올리고도 모자라는 돈은 세금으로 메우려 한다며 정부 여당을 몰아붙였습니다. <br /> <br />[나경원 / 자유한국당 원내대표 : 이거 버스값 올리고 그다음에는 뭘 하느냐. 이 모자라는 것은 고용기금에서 지원하겠다고 합니다. 이거 다 우리 돈인 거 아시죠? (네!)] <br /> <br />바른미래당 손학규 대표 역시 버스 대란의 원인이 주 52시간 시행 특례업종에서 노선버스 업종이 빠졌기 때문이라고 꼬집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국회 정상화가 시급한 상황인데요, <br /> <br />여·야·정 협의체 가동은 여전히 확정이 안 된 거지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그렇습니다. 민주당과 한국당이 어떤 형식으로 할지를 두고 기싸움을 벌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1대1 회담을 제안한 한국당 황교안 대표는 청와대가 온갖 핑계 1대 1 회담을 거부한다면서 형평성이 문제라면 다른 정당 대표와도 차례로 만나면 된다고 반박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의례적인 얘기만 하고 사진만 찍는 자리라면 아무 의미가 없다고 지적했습니다. <br /> <br />[황교안 / 자유한국당 대표 : 그런데 우르르 모여서 대통령 듣기 좋은 이야기나 나누고 사진이나 찍는다면 국민께 그런 회담이 무슨 도움이 되겠습니까.] <br /> <br />민주당 이인영 원내대표는 교섭단체를 구성한 여야 3당만 참여하는 여·야·정 협의체를 가동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190513160946858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