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진행: 변상욱 앵커, 안보라 앵커 <br />■ 출연: 대도서관 / 유튜버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인터뷰가 있는 저녁입니다. 영상으로 먼저 만나보셨죠? 유튜브의 신, 1인 미디어의 창시자, 스타 유튜버. 수식어가 너무 많은 분이세요. 구독자 190만 명을 사로잡고 있는 대도서관 님을 모셨습니다. 어서 오십시오. 안녕하십니까? <br /> <br />[인터뷰] <br />안녕하세요. 너무 과찬이시네요. <br /> <br /> <br />그런데 대도서관 하면 아직도 무슨 이름, 애칭? 아니면 기관 사무실 이름인가? <br /> <br />[인터뷰] <br />문명이라는 시뮬레이션 게임에 나오는 건축물이에요. 실존하는 건축물이죠. 알렉산드리아 도서관. 그래서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이라는 애칭이 대도서관이거든요. 그 안에서 제가 따왔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어려운 걸음 해 주셨는데 일단 핫한 이슈가 있으니까 핫한 이슈부터 처리하고 넘어가는 게 나을 것 같습니다. 게임이 질병이다라고 하는 국제적인 인정 때문에 국내에서도 게임은 우리의 주요 산업이기도 하고 워낙 미래를 보면 상당히 중요한 어떤 아이템인데 이걸 질병으로 얘기하자니 참 그렇고 안 하자니 그것도 그렇고. 그런데 대도서관께서는 그걸 어떻게 질병으로 보느냐. 시대에 뒤떨어진 방식이지 그런 사고가 어디 있냐라고 하셨는데. 그 입장은 변함없으신 거죠? <br /> <br />[인터뷰] <br />변함없죠. 아무래도 시대가 좀 바뀌었다고 저는 생각을 해요. 사실은 게임중독보다도 인터넷중독이나 SNS중독, 굉장히 다양한 중독들이 있거든요. WHO가 게임이 중독이라고 발표를 했는데 사실은 그거는 기정사실화가 되어 있었던 부분이고 사실 우리나라에서 이걸 받느냐 안 받느냐가 훨씬 중요해요. <br /> <br />그런데 입장은 갈리고 있거든요. 문체부 같은 경우에는 이걸 반대하는 입장이고 보건복지부는 이걸 찬성하는 입장이고. 찬성하기에 앞서서 거의 적극적으로 하겠다고 하는 입장이어서 솔직히 산업 전반에 걸쳐서도 걱정이 있고 또 우리 아이들이 자칫하면 거의 인구 절반 이상이 게임을 하고 있거든요. 전 세계 인구의 절반 이상이 거의 게임을 다 하고 있어요, 지금 같은 세상에서는. 그럼 대부분이 다 그냥 어디 코에 걸면 코걸이, 귀에 걸면 귀걸이처럼 그냥 질병을 가진 약간 환자가 될 수 있다는 거거든요. 약간 정신적 병력이 생길 수도 있다는 거죠. 그런 것 때문에 좀 우려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6_20190528203429610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