세계보건기구, WHO가 '번아웃' 증후군을 '직업 관련 증상'으로 분류했습니다. <br /> <br />직장에서 누적된 피로로 인해 매사에 무기력함을 느끼게 되는 현상인데, 현대 사회에 널리 퍼져 있는 건강 문제라는 지적입니다. <br /> <br />조수현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과도한 업무 후 극도의 피로로 인한 직장인의 의욕상실을 병으로 정의할 수 있을까? <br /> <br />세계보건기구, WHO가 수십 년에 걸친 논쟁 끝에 이런 '번아웃' 현상을 '직업 관련 증상'으로 규정했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 의학적 질병으로 분류하지는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WHO는 '번아웃'을 '제대로 관리되지 않은 만성적 직장 스트레스에서 오는 증후군'으로 정의했습니다. <br /> <br />일에 몰두해 스트레스가 계속 쌓이면서 극심한 피로로 이어지고, <br /> <br />결국, 몸의 에너지가 '번아웃', 즉 소진돼버려 무기력함을 느끼는 게 주요 증상입니다. <br /> <br />이는 자기 직업에 대한 심리적 거리감과 함께 부정적, 냉소적 감정을 키우며 업무 효율 저하를 초래한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번아웃은 직업적 맥락에서의 현상을 의미하며, 삶의 다른 영역에서 적용해선 안 된다는 게 WHO의 설명입니다. <br /> <br />목표 수준이나 포부가 과도하거나 전력을 다하는 성격의 사람에게서 주로 나타나지만, <br /> <br />현대 사회에서 수많은 직장인의 건강을 위협하는 문제로 지적됐습니다. <br /> <br />일의 강도와 양에 비해 충분한 휴식을 갖지 못하는 것도 원인으로 지목됩니다. <br /> <br />'번아웃'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정해진 업무 시간 내에 일을 마치도록 하고, 퇴근 후에는 집으로 일을 가져가지 않는 방법이 권장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에 승인된 새 질병 표준은 194개 WHO 회원국에서 2022년부터 효력을 갖게 됩니다. <br /> <br />YTN 조수현[sj1029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190529041727670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