경상수지가 지난 2012년 4월 이후, 그러니까 7년 만에 적자를 기록했습니다. <br /> <br />적자 규모는 6억 6천만 달러인데요. <br /> <br />결국, 반도체 단가 하락과 세계교역량 부진 탓에 수출이 감소한 게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됩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연결하겠습니다. 백종규 기자! <br /> <br />지난 4월 경상수지가 적자를 나타냈는데, 상품수지 흑자가 많이 줄어든 탓이라고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4월 경상수지는 6억 6천만 달러 적자를 나타냈습니다. <br /> <br />2012년 4월 이후 84개월 만입니다. <br /> <br />경상수지는 상품수지와 서비스수지, 본원소득수지와 이자 소득수지로 나뉩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이번에는 국민경제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상품수지 흑자 폭이 크게 줄었습니다. <br /> <br />무엇보다 반도체 단가 하락 등의 영향으로 수출이 급감했기 때문인데요. <br /> <br />수출은 줄고 수입은 늘면서 상품수지는 1년 전보다 40억 달러 가까운 감소세를 보여 56억 7천만 달러 흑자에 그쳤습니다. <br /> <br />서비스수지는 적자 폭이 크게 줄었는데, 입국자가 늘었지만, 해외여행이 줄어든 탓입니다. <br /> <br />우리 국민이 해외에서 받은 임금과 투자소득에서 <br /> <br />외국인이 국내에서 벌어들인 소득을 뺀 본원소득 수지도 43억 3천만 달러 적자를 기록하면서 경상수지 적자 폭을 키웠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한국은행과 기획재정부는 경상수지 적자를 일시적인 계절적 요인으로 보고 있다고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한국은행은 경상수지 적자를 원인을 계절적 요인, 그러니까 연말결산법인의 배당지급 집중 때문으로 봤습니다. <br /> <br />또 '계절성'을 제거하면 4월에도 33억6천만 달러 흑자였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서 '적자'에 과도한 의미를 부여하지 말아 달라고 당부했고 <br /> <br />5월에는 흑자를 낼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. <br /> <br />기획재정부도 올해 연간 상품수지는 1,000억 달러 안팎의 흑자를, <br /> <br />경상수지는 600억 달러 이상의 흑자가 예상된다고 덧붙였습니다. <br /> <br />기재부 역시 경상수지 적자를 외국인 배당이 4월에 집중되는 계절적 요인에 따라 발생한 일시적 현상으로 분석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이런 설명과 다르게 경상수지 적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건 수출 부진으로 풀이됩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경제 지표가 줄줄이 부진한 탓에 국내 경기에 대한 우려가 생기는 것도 사실입니다. <br /> <br />미·중 무역 분쟁이 계속되는 상황에서 수출이 언제 회복될지 가늠하기 힘든 상황이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또 1분기 우리 경제가 역성장하면서 1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190605165435752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