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진행 : 변상욱 앵커, 안보라 앵커 <br />■ 출연 : 장창두, 서울대 조선해양공학과 명예교수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지금 이 자리에는 서울대 조선해양공학과 장창두 명예교수께서 나와 계십니다. 교수님, 어서 오십시오. <br /> <br />[인터뷰] <br />안녕하세요? <br /> <br /> <br />지금 대형 크레인이 사고 현장, 배가 빠져 있는 곳으로 접근하고 있다고 계속 소식을 듣고 있습니다. 커다란 크레인 저 배가 강을 따라 지점으로 접근을 하려면 어떤 난관들이 있는 겁니까? <br /> <br />[인터뷰] <br />일단 수위 때문인데요. 다리 밑부분하고 수위 사이가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어야만 크레인이 풀리지 않으니까 그것만 문제가 아니라면 바지 자체는 굉장히 안정성이 있습니다. 그래서 통행하는 데 큰 문제는 없고요. <br /> <br /> <br />그러니까 그 강에 원래 있는 거라 하더라도 강물이 불어났으니까 다리 쪽으로 많이 올라가게 되니까 부딪힐까 봐 그러는 거군요. <br /> <br />[인터뷰] <br />아주 안 좋은 경우는 수위가 내려갈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데 아마 그건 이미 개척을 하고 이동을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. 큰 문제는 없으리라고 봅니다. <br /> <br /> <br />현장까지 순조롭게 오고 있는 과정이라고 현장 소식이 전해졌는데요. 지금 선박 결속 작업이 한창이라고 합니다. 내일부터 본격적인 인양작업을 시작한다고 하는데 어떤 점을 가장 주의해야 될지 궁금합니다. 어떤 작업이 가장 어렵습니까? <br /> <br />[인터뷰] <br />첫째는 하중 배분을 잘해야 되거든요. 그러니까 배란 걸 두 군데만 달랑 걸게 되면 한가운데가 처져서 거기에 또 물도 담겨 있고 하니까 굉장히 하중이 가운데 집중되게 되면 이게 휘어서, 활처럼 휘다가 강도가 부족하면 부러질 수도 있습니다. 그래서 아마 그렇게 하는 것보다는 여러 가닥으로 이렇게 몇 군데 나눠서 하중을 분배를 시킬 겁니다, 아마. 그렇게 해야만 파손이나 이런 게 안 일어날 거고. 그다음에 두 번째는 와이어 로프 자체가 70년 된 목선이기 때문에 파먹고 들어갈 가능성이 높습니다. 그 부분을 아마 배려를 할 겁니다. 그냥 그 힘이 집중이 되면 목질이니까 그냥 파먹고 들어가서 그게 또 파손의 원인이 되거든요. 그래서 거기는 아마 밴드를 붙이든지 해서 아마 목질이 그냥 와이어 로프가 이 나무를 파고들지 않도록 그런 조치를 할 것 같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그런데 이게 집는 겁니까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190605200917281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