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진행 : 이승민 앵커 <br />■ 출연 : 이동우 / 국제부 기자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인양 작업이 이르면 오늘 밤 이뤄질 수도 있다고 하는데요. 현지 상황을 국제부 이동우 기자와 함께 종합해 보겠습니다. 이동우 기자, 어서 오십시오. <br /> <br />일단 앞서서 김대근 기자의 리포트에서 봤습니다마는 인양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대형 크레인이 현장에 도착해야 되는데 이 과정이 사실은 순탄치 않았다, 이렇게 볼 수 있을 것 같은데요. 어떤가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그렇죠. 조금 전에 김대근 기자 리포트에서 봤습니다마는 대형 크레인선 클라크 아담호가 현장에 무사히 도착하기는 했는데 그전에는 한 5.5km 지점에서 사흘 동안 정박해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왜냐하면 2개의 다리를 통과해야 되는데 다뉴브강의 수위가 4.2m 이하로 내려와야만 다리에 걸리지 않고 클라크 아담호가 지날 수가 있었는데 지금까지는 4.2m보다는 높았던, 아마 4.5m, 4.6m 이 정도가 됐었던 것이죠. <br /> <br />그런데 슬로바키아가 이 부분에서 결정적으로 기여를 했습니다. 바로 헝가리보다 위에 상류에 있는 국가가 바로, 다뉴브강 상류에 있는 국가가 슬로바키아인데 슬로바키아가 수위 조절을 해 주면서 결국. <br /> <br /> <br />댐을 조절을 해 준 거죠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여러 가지 방법을 통해서 댐 수량을 조절한다든지 이런 방법을 통해서 수위를 4.2m 이하로 낮춰주면서 다뉴브강 사고 지점으로 대형 크레인선 클라크 아담이 도착할 수 있도록 된 것이고 그리고 앞에 예인선을 설치해서 예인선이 정확하게 방향을 갈 수 있도록 유도를 해 준 겁니다. <br /> <br />아까 화면을 보셨을 겁니다. 보면 이 다리가 머르기트 다리가 아치형이거든요. 아치형이기 때문에 옆 부분은 아무래도 앞부분은 크레인선이 닿을 가능성이 있고 정가운데 같은 경우가 수면에서부터 가장 높은 것 아니겠습니까? <br /> <br />그 정가운데를 지나갈 수 있도록 예인선이 유도한 것이죠. 이런 두 가지 방법으로 예인선이 정확하게 유도를 하고 그리고 슬로바키아의 도움으로 다뉴브강의 수위가 낮아지고, 이 두 가지의 요인 때문에 예상보다 빨리 대형 크레인선이 다뉴브강 사고 현장에 도착할 수 있었던 것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그러니까 거기까지 오는 데 걸린 시간은 어느 정도 걸린 건가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한 35분 정도 걸렸습니다. 5.5km 정도 거리가 되는데 그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190608150403177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