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美도 '통화 정책 완화' 시사...금리 인하 초읽기 / YTN

2019-06-22 22 Dailymotion

기준금리 인하가 초읽기에 들어간 분위기입니다. <br /> <br />대내외 악재로 금리 인하 목소리가 커진 데다, 미국마저도 금리 동결 기조를 사실상 포기했기 때문인데요, <br /> <br />지난달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회의록을 보면 금리 인하가 예상보다 더 빠르게 단행될 가능성도 있어 보입니다. <br /> <br />조태현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미국의 선택은 기준금리 동결이었지만, 분위기는 사뭇 달랐습니다. <br /> <br />일단 동결 결정이 만장일치로 이뤄지지 않았고, 설명서에는 동결을 뜻하는 '인내심'이라는 문구도 사라졌습니다. <br /> <br />[제롬 파월 /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 (지난 19일) : 경제 전망에 대한 위험을 상당히 유념하고 있습니다. 대응할 준비가 돼 있고 경제 확장을 유지하는 데 필요에 따라 적절한 수단을 쓰겠습니다.] <br /> <br />다음 달 회의에서는 미국이 기준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우세합니다. <br /> <br />트럼프 행정부가 촉발한 무역 분쟁으로, 경기 둔화의 우려가 커졌다는 점이 가장 큰 이유입니다. <br /> <br />미국과의 기준금리 역전으로, 운신의 폭이 좁았던 한국은행으로서는 통화 정책을 바꿀 명분이 생긴 셈입니다. <br /> <br />지난 1분기 마이너스 0.4% 역성장 쇼크는 물론이고, 기업 10곳 가운데 3곳이 돈을 벌어 이자도 갚지 못할 정도로 경기가 악화한 만큼, 경제 활력을 위해 선제적으로 금리를 낮춰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는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한국은행 역시 기존의 동결 기조에서 한발 물러선 분위기입니다. <br /> <br />[이주열 / 한국은행 총재 (지난 12일) : 미·중 무역분쟁, 반도체 경기 등 대외 요인의 불확실성이 크게 높아진 만큼, 전개 추이와 영향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경제 상황 변화에 따라 적절하게 대응해 나가야 하겠습니다.] <br /> <br />특히 지난달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사실상 두 명이 소수 의견을 냈다는 점이 알려지면서, 금리 인하 기대감은 더욱 커지는 모습입니다. <br /> <br />[공동락 / 대신증권 연구원 : 역시 기준금리에 가장 민감한 시장은 채권 시장입니다. 현재 채권 시장에서는 국고채 금리를 비롯해 여러 금리가 기준금리 이하 수준으로 거래되고 있어 사실상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을 크게 평가하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한국은행이 경기 회복의 조짐을 찾지 못한다면 이르면 다음 달 열리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금리를 낮출 수도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되는 것도, 바로 이런 이유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YTN 조태현[choth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190623054422777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