북한 목선 경계실패를 규명하는 국방부 합동조사단이 활동 기간을 연장하기로 했지만, 아직 목선의 GPS 정보조차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 <br /> <br />경계 실패를 검증할 객관적 증거인 GPS 분석을 확보하지 못할 경우 군 당국의 '셀프 검증'에 대한 의문은 더 커질 수밖에 없다는 지적입니다. <br /> <br />강정규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 15일, 우리 군의 경계망을 뚫고 강원도 삼척항까지 들어 온 북한 소형 목선. <br /> <br />배에 탄 북한 주민 4명의 진술 외에 객관적 증거는 배에 탑재된 GPS 장치가 유일합니다. <br /> <br />[이혜훈 / 국회 정보위원장 (지난 19일) : 일부 행적은 진술에 의존하기도 하고 GPS로 확인되는 부분도 있고, GPS를 국과수에 의뢰하면 진술의 신빙성 여부를 가릴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는 것 같습니다.] <br /> <br />북한 목선의 시간대별 이동 경로를 추적할 수 있는 GPS는 경계 실패 원인을 규명할 핵심 정보이기도 합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국방부 합동조사단은 북한 목선의 GPS 자료를 확보하지 못했습니다. <br /> <br />군 관계자는 "국정원의 합동신문이 끝나지 않았고, GPS 정보도 분석 중인 것으로 안다며, 조만간 자료 공유를 요청해 보겠다"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국방부 감사관을 필두로 모두 36명 규모인 합동조사단은 지난 20일부터 1주일 동안 경계 실패 원인을 규명할 계획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, 자료 수집에만 나흘을 쓰고 결국 활동 기간을 이틀 연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조사 범위도 포항의 해군 6항공전단으로 넓혔습니다. <br /> <br />우리 해군의 P-3 초계기가 북한 목선 주변 4㎞까지 접근했다가 그냥 지나쳤다는 의혹을 확인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됩니다. <br /> <br />군 당국은 앞서 경계 작전에 문제가 없었다고 결론 내렸다가 의혹이 끊이지 않자 재조사에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북한 목선의 GPS 정보를 끝내 확보하지 못할 경우 조사결과의 신뢰도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YTN 강정규[live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190625183917827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