홍콩 시위가 한 달 넘게 이어지자 결국 홍콩의 캐리 람 행정장관은 지난 9일 논란이 됐던 송환법안은 '죽었다'고 발표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시민단체들은 캐리 람 장관의 말을 믿지 못하겠다며 완전한 철회를 요구하면서 오는 21일 또다시 대규모 시위를 예고했습니다. <br /> <br />박철원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 9일 홍콩의 캐리 람 행정장관은 기자회견을 열고 '송환법은 죽었다'고 말하며 사실상 시민들의 요구를 수용했습니다. <br /> <br />[캐리 람 / 홍콩 행정장관 : 거듭 말씀드리자면 (송환법 재추진) 계획은 없습니다. 송환법은 죽었습니다.] <br /> <br />하지만 시위 주도 단체인 '민간인권전선'은 람 장관이 말장난을 할 뿐 설득력이 없다며 법안의 완전한 철폐를 재차 요구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 지난 14일 시위 당시 현장에서 검거된 시위자 47명에 대한 기소 취하 등을 비롯해 5대 요구 사항을 발표했습니다. <br /> <br />경찰의 과잉진압도 문제 삼으며 독립적인 수사기관에서 조사가 이뤄져야 하고, 시위 참여자 색출도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홍콩의 한 여론조사기관은 지난 6월과 이달 초 두 차례의 여론조사에서 캐리 람 장관에 대한 지지율이 26%로 급락했다고 밝히며 정정 불안이 가시지 않고 있음을 우려했습니다. <br /> <br />[브루스 루이 / 대학교수 : 홍콩 정부와 베이징 정부가 홍콩 시민들의 여론에 신중하게 대응하지 않을 경우 홍콩의 불안한 상황은 계속될 것입니다.] <br /> <br />이런 가운데 민간인권전선은 오는 21일 홍콩 도심인 코즈웨이베이에서 수십만이 참가하는 집회를 열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대해 경찰은 연이은 시위 현장 출동으로 일선 경찰의 부상이 속출하고 피로감이 극에 달했다며, 이를 8월로 연기해 달라고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가운데 미 시사주간지 타임은 현지 시각 16일 발표한 '인터넷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25인'에 우리나라의 방탄소년단,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등과 함께 홍콩 시위대를 선정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박철원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190718052937859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