우리나라가 지난해 글로벌 전자업계에서 중국과 미국에 이어 세계 3위 생산국 지위에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반도체 편중 현상이 심각해 이를 극복하는 게 중요한 과제로 떠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일본 수출 규제 이후 외국 반도체 업체들의 추격이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박병한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가 최근 발간한 '세계 전자산업 주요국 생산동향 분석' 보고서입니다. <br /> <br />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한국의 전자산업 생산액이 천711억 달러로 일본을 누르고 3위를 차지했습니다. <br /> <br />[소현철 / 신한금융투자 기업분석부 부서장 : 작년에 D램과 낸드 등 메모리 반도체 업황이 매우 좋았고 특히 OLED에서 압도적 1위라 일본 전자산업을 이겼습니다.] <br /> <br />5년 전인 지난 2013년에 비하면 생산이 53.3% 늘어났고, 최근 5년 동안 연평균 증가율이 9%에 달해 상위 20개국 가운데 베트남과 인도에 이어 세 번째로 높았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전체 전자산업 생산에서 반도체 등 전자부품의 비중이 77.3%로 전자부품에 대한 의존도가 높았고, 무선통신기기와 컴퓨터가 각각 10%와 7.8%로 그 뒤를 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경쟁국들이 전자부품과 무선통신기기, 컴퓨터 부문 사이 비중이 균형을 이루고 있는 반면, 우리는 반도체 편중 현상으로 이를 극복하는 게 중요한 과제입니다. <br /> <br />특히 일본의 수출 규제 조치 이후 한국 반도체 업계가 주춤하는 사이 외국 경쟁사들의 추격이 만만치 않은 모습입니다. <br /> <br />세계 최대 파운드리 업체인 타이완의 TSMC가 최근 첨단 극자외선 EUV 공정에 대한 공격적인 투자에 나섰고, 일본 도시바도 회사 이름까지 바꾸고 기업 공개를 추진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가운데 삼성전자는 오는 9월 도쿄 파운드리 포럼을 예정대로 진행하고 2030년 시스템 반도체 1위 목표를 차질 없이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YTN 박병한 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190730222642896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