징용 피해 배상 등을 둘러싼 한국과 일본의 갈등이 고조하는 가운데 미국의 전문가들은 미국 정부가 중재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.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또 미국이 3국 정상회담을 열어 안보 협력의 중요성을 재확인하는 성명을 발표하라고 제안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동우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한국을 백색국가, 즉 수출 절차 간소화 국가에서 제외하는 일본의 공식 결정이 임박한 가운데 미국의 전문가들은 미국 정부가 한일 갈등 해소를 위해 적극 중재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외교협회 한국학 선임연구원인 스콧 스나이더는 포브스 기고문에서 "미국은 한일 갈등이 한미일 동맹국 안보 구조의 해체로 이어지는 상황을 방관해서는 안 된다"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스나이더는 "미국은 가장 먼저 일본에게 한·일 경제의 탈동조화를 중단하고 한국을 신뢰 가능한 무역 상대국으로 대접하라고 요구해야 한다"고 주문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 "한국에 대해선 1965년 체결된 한일 기본조약의 유효성을 인정하고 일제 강점기에 한인 징용 노동자를 부린 일본 기업의 자산을 압류하려는 시도를 중단하도록 요구해야 한다"고 주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와 함께 미국이 한미일 3국 정상회담을 열어 안보 협력의 중요성을 재확인하는 성명을 발표하라고 제안했습니다. <br /> <br />셀레스트 애링턴 조지워싱턴대 한국재단 조교수와 앤드루 여 미국 가톨릭대 아시아학 책임자도 외교 전문매체에 기고한 글을 통해 미국 정부의 적극적인 역할을 촉구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들은 "한국 전자제품 제조업체가 국제경제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에 비춰보면 한일 간 무역 갈등은 미국 경제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"고 지적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 "미국의 아시아 안보 시스템에서 가장 강력한 축인 한국과 일본이 협력할 수 없다면 중국이 역내 영향력을 확대하고 북한은 미국 동맹들 사이의 분열을 활용할 것"이라고 우려를 표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들은 "미국이 한국에 배상 청구 문제를 중립적인 제3자의 중재로 해결하는 것에 동의하라고 촉구해야 하며, 일본에는 무역 규제를 진행하지 말라고 권고해야 한다"고 주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전문가들의 잇따른 충고에 따라 미국 정부가 어떤 움직임을 보일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이동우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190802011306273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