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본의 대한국 수출 보복조치로 한일 갈등이 고조된 가운데 일본의 국제예술제에 출품된 '평화의 소녀상'의 전시가 일방적으로 중단됐습니다. <br /> <br />작가들은 일본이 표현의 부자유를 그대로 인정한 것이라고 강력히 비판했습니다. <br /> <br />김태현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첨예한 한일 갈등 속에 '위안부 소녀상' 전시에 대한 우려가 현실이 됐습니다. <br /> <br />'아이치 트리엔날레' 관계자는 "스가 관방장관과 오오무라 아이치현 지사의 일방적인 통보로 '표현의 부자유, 그 후' 전시가 오후 6시부터 중단됐다"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일본군 위안부를 기리는 김운성, 김서경 작가의 '평화의 소녀상'을 비롯해 안세홍 작가의 위안부 피해자 사진 등 전시회 출품작이 모두 철거되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1일 아이치현 나고야시에서 개막한 이번 전시는 그동안 외압으로 전시되지 못한 작품을 한데 모아 기획전 형식으로 마련됐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일본 정부가 이번 행사의 보조금 내역을 조사하겠다고 밝힌 데다, 나고야 시장을 비롯한 지자체장까지 압력에 합세하고 우익단체들의 항의가 이어지면서 전시회가 중단됐습니다. <br /> <br />일본에서 '평화의 소녀상'이 내려지는 것은 2012년 도쿄 도립미술관 전시에서 소형 소녀상이 정치적 표현물이라는 이유로 철거된 데 이어 두 번째입니다. <br /> <br />전시에 참여한 큐레이터들과 작가들은 일본 측 결정을 성토했습니다. <br /> <br />[김운성 작가 / 평화의 소녀상 출품 : 작가에게 어떤 한마디도 없이 전시회를 중지한 것은 '표현의 부자유' 전시를 일본이 그대로 인정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.] <br /> <br />아이치 트리엔날레는 60만 명 안팎이 관람하는 일본 최대 규모의 국제예술제로 일본의 공공 미술관에서 평화의 소녀상이 전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태현[kimth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190803211719472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