북한이 오늘 아침 쏜 발사체는 고도 30km로 떠올라 230km 밖에 떨어진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최대 속도 마하 6.1로 탐지됐는데요. <br /> <br />지난 10일, 이어 엿새 만인데, 이번엔 한미 연합 훈련 2부인 반격 연습에 들어가는 시점에 추가 발사가 이뤄졌습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강정규 기자! <br /> <br />먼저, 우리 군이 파악한 북한의 발사체 관련 내용 정리해 볼까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북한은 오늘 아침 8시 1분과 16분, 2차례에 걸쳐 발사체를 쏘아 올렸습니다. <br /> <br />발사 장소는 군사 분계선에서 불과 50km 떨어져 있는 강원도 통천 북방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발사 약 4시간 만에 비행 특성이 공개됐는데요. <br /> <br />발사체는 고도 30km 정도로 떠오른 뒤 230km 밖에 떨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속도는 마하 6.1이상으로 탐지됐습니다. <br /> <br />아마도 함경남도 길주군 무수단리 앞바다에 있는 알섬을 표적 삼아 정밀 타격 시험을 한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북한이 이번에 어떤 종류의 발사체를 쐈는지 윤곽이 잡히나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발사체의 종류는 2가지 압축됩니다. <br /> <br />일단 사거리와 고도 등 비행 특성만 놓고 보면 지난달 31일과 지난 2일에 쏜 신형 대구경 조종 방사포와 비슷합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이 무기의 경우 이미 알섬을 표적 삼아 발사한 적 있기 때문에 이번에 똑같은 형태로 반복 시험을 할 이유가 적습니다. <br /> <br />가능성이 높은 건, 지난 10일 함경남도 함흥에서 쏜 '북한판 에이태킴스(ATACMS)'의 저각 발사인데요. <br /> <br />북한이 '새 무기'라고만 공개했던 이 미사일은 앞서 고도 48km, 사거리는 400km, 최대 속도는 마하 6.1이상으로 탐지됐죠. <br /> <br />이번엔 사드와 같은 요격망 보다 낮게 발사해 F-35A 스텔스 전투기가 있는 공군 청주 기지까지 타격할 수 있다는 점을 과시하려 한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특히 지난 10일 첫 시험 발사 땐 그냥 바다에 떨어뜨렸던 만큼 이번엔 표적을 정해두고 정밀성을 시험해 봤을 가능성이 큽니다. <br /> <br />물론 최근 안정성을 과시하며 실전배치 단계에 들어섰다고 주장한 '북한판 이스칸데르'나 전혀 다른 무기일 가능성도 배제할 순 없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북한의 추가 발사 시점도 눈여겨 볼 필요가 있죠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앞서 북한은 지난 10일 '북한판 에이태킴스'로 불리는 '새 무기'를 발사했죠. <br /> <br />후반기 한미 연합 지휘소 훈련에 돌입하기 하루 전이었는데요. <br /> <br />이번엔 한미 훈련 2부 연습에 들어가기 하루 전에 추가 발사를 했습니다. <br />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190816134613209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