민주당이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검찰의 수사에 대해 이례적으로 강하게 반발한 배경에는 노무현 전 대통령이 검찰의 이른바 '언론 플레이'로 서거했다는 피해 의식이 자리 잡고 있다는 분석이 많은데요 <br /> <br />여권의 반발이 거셀 경우 윤석열 검찰총장 체제가 흔들릴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, 문재인 대통령이 어떤 입장을 내놓을지도 관심입니다. <br /> <br />최기성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 7월 문재인 대통령은 윤석열 검찰총장을 임명하며 성역없는 수사를 당부했습니다. <br /> <br />[문재인 대통령 (7월 25일 윤석열 검찰총장과 간담회) : 우리 청와대든 또는 정부든 또는 집권 여당이든 만에 하나 권력형 비리가 있다면 그 점에 대해서는 정말 엄정한 그런 자세로 임해 주시기를 바라고요.] <br /> <br />대통령 발언은 한 달여 만에 현실로 돌아왔습니다. <br /> <br />'윤석열호'가 처음 겨냥한 살아있는 권력은 문재인 정부 검찰 개혁 상징이자 정권 실세인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였습니다. <br /> <br />청와대와 법무부도 사후 통보받을 정도로 철통 보안 속에 수사가 진행된 사실이 전해지면서 압수수색 당일 더불어민주당은 당혹스러운 분위기를 감추지 못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조 후보자 가족 출국 금지 사실과 압수수색 때 확보한 문건 관련 보도가 나오면서 기류가 급변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도부 발언과 공식 논평 등을 통해 검찰 성토 발언을 쏟아내기 시작한 겁니다. <br /> <br />[이재정 / 더불어민주당 대변인 : 피의 사실 공표, 이러한 법 위반, 이것은 과거 검찰의 대표적인 적폐 행위였습니다. 흡사, 노무현 대통령의 논두렁 시계 사건을 다시 재현해보는 듯합니다. 묵과할 수 없는 범죄입니다.] <br /> <br />지난 2009년 언론 매체는 노 전 대통령이 권양숙 여사가 박연차 전 태광실업 회장에 대한 수사가 시작되자 본인 몰래 1억 원짜리 명품시계를 논두렁에 버렸다고 검찰에 진술했다고 보도했습니다. <br /> <br />노 전 대통령은 그런 진술을 한 적 없다고 부인했지만, 파문은 커졌고 보도 열흘 만에 노 전 대통령은 서거했습니다. <br /> <br />당시 수사를 총괄한 인물은 노 전 대통령이 임명했던 임채진 검찰총장. <br /> <br />여당 내부에선 검찰이 이번에도 개혁을 방해하기 위해 언론에 확인 안 된 피의사실을 흘리는 구태를 반복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[홍익표 / 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 : 별건 수사, 수사 정보 유출 같은 잘못된 관행은 이번 기회에 윤석열 검찰총장 체제에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190829044316945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