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신과 마찰을 빚어온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을 전격 경질했습니다. <br /> <br />대표적인 대북 강경파가 1년 반 만에 하차함에 따라 미국의 대북 정책에도 변화가 있을 것으로 관측됩니다. <br /> <br />김태현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트럼프 대통령은 트위터를 통해 존 볼턴 보좌관의 전격 경질을 알렸습니다. <br /> <br />"나는 지난밤 존 볼턴에게 백악관에서 더 이상 일할 필요가 없다고 알렸으며, 오늘 아침 사임에 대한 회신을 받았다"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경질 배경과 관련해 "행정부의 다른 사람들이 그랬듯이 그의 많은 제안에 강력히 반대했다"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어 볼턴의 봉직에 대해 감사를 표명하고, 다음 주 후임자를 지명할 것이라고 적었습니다. <br /> <br />[호건 기들리 / 美 백악관 부대변인 : 존 볼턴의 정책은 대통령의 정책과 조화를 이루지 못합니다. 대통령은 그의 정책을 수행할 사람을 자리에 앉힐 권리가 있습니다. 더 이상 받아줄 수 없어 경질한 것입니다.] <br /> <br />볼턴 보좌관은 그러나 트위터에서 "지난밤 사임을 제안했고, 트럼프 대통령은 내일 이야기하자고 말했다"며 엇갈리는 주장을 폈습니다. <br /> <br />미 행정부 내 강경파로 꼽혀온 볼턴 보좌관이 1년 반 만에 경질됨에 따라 미국의 대북 정책에도 변화가 예상됩니다. <br /> <br />외교안보의 양대 축인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에게 힘이 실리면서 훨씬 유연한 대북 협상이 이뤄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볼턴 보좌관은 북한, 이란, 베네수엘라 등과의 대외 정책에서 초강경 노선을 고수해 트럼프 대통령과 수차례 파열음을 빚어 왔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지난 6월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판문점 회동 때 수행하지 않고 몽골로 가면서 '볼턴 패싱' 논란이 불거졌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태현[kimth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190911230010197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