환경부가 요양병원에서 나오는 일회용 기저귀를 의료폐기물에서 제외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는데 안전 문제를 놓고 논란이 많습니다. <br /> <br />의료폐기물 소각업체들은 감염 우려가 있다는 이유로 반대하고 있는데 환경부는 자체 연구용역 결과 안전에 문제가 없다고 반박합니다. <br /> <br />황선욱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단국대 김성환 교수는 최근 한국의료폐기물공제조합의 의뢰를 받아 요양병원 141곳의 기저귀 감염실태를 조사한 결과 5곳 중 1곳에서 폐렴구균이 검출됐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기저귀의 감염성 여부를 정확히 판단해 의료폐기물과 일반폐기물로 철저히 분리·배출할 수 있을지 우려된다며 기저귀를 의료폐기물에서 제외하는데 사실상 반대했습니다. <br /> <br />[김성환 / 단국대 미생물학과 교수 : 폐렴구균이 검출된 28개를 중심으로 용변을 보니까 혈뇨 섞인 기저귀 수가 증가합니다. 이런 것은 좀 더 우려할 포인트가 생긴 거죠.] <br /> <br />하지만 환경부는 이런 균은 인체에 일상적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검출 사실만으로 감염 위해성을 판단할 수 없다는 것이 다수 전문가들의 견해라고 반박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서 자체 연구 용역 결과 전국 100개 요양병원의 비감염성 환자 기저귀 5백 개 중에서 유해균이 나온 비율은 5.6%에 그쳤다고 덧붙였습니다. <br /> <br />일반인의 배설물에서 검출되는 유해균 비율이 13%인데 이보다 오히려 크게 낮은 수치라는 겁니다. <br /> <br />[김기연 / 서울과기대 안전공학과 교수 : 항생제 내성균 VRE(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) CRE(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)를 분석했습니다. 검출한 결과가 일반인의 몸속에 있는 항생제 내성균의 검출률과 유사하거나 오히려 더 낮은 수치로 나와서….] <br /> <br />이러한 연구 결과는 오는 16일 열리는 국회토론회에서 발표될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환경부는 또 폐렴구균과 같은 법정 감염병 균이 검출된 기저귀는 지금처럼 의료폐기물로 별도 처리하기 때문에 안전에 문제가 없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환경부는 이런 이유로 감염 우려가 없는 일회용 기저귀를 의료 폐기물에서 제외하는 방안을 예고한 대로 이르면 10월부터 시행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 장기적으로는 미국과 일본처럼 전용처리시설을 없애고 의료폐기물을 일반 소각장에서 처리하는 방안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황선욱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190912010000424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