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은 중동의 석유나 가스가 필요하지 않지만 동맹국을 돕겠다고 말하면서 이번 사태의 책임으로 이란을 지목했습니다. <br /> <br />릭 페리 미국 에너지부 장관도 이란이 대혼란을 초래하고 있다고 비난했는데 트럼프 행정부가 연일 이란을 압박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워싱턴 강태욱 특파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몇 년간 에너지와 관련해 너무나 잘해 에너지 순수출국이자 세계 1위 에너지 생산국이 됐다고 자랑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어 미국은 중동의 석유나 가스가 필요하지 않고, 유조선도 거의 배치돼 있지 않지만 동맹을 돕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하루 전 전략비축유 방출을 승인하면서 세계 유가 안정화를 돕겠다는 뜻을 다시 확인한 겁니다. <br /> <br />[릭 페리 / 미국 에너지장관 : 트럼프 대통령이 필요하다면 전략비축유 방출을 허가했습니다. 우리 에너지부는 응할 준비가 돼 있습니다.] <br /> <br />트럼프 대통령은 그러면서 이번 혼란의 책임으로 이란을 지목하면서 지난 6월 미군 드론 격추 때도 이란은 알면서도 거짓말했다고 비난했습니다. <br /> <br />릭 페리 에너지장관도 이란이 대혼란을 초래하고 있다면서 이를 멈추기 위해 국제사회의 협력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. <br /> <br />폼페이오 국무장관이 이란을 지목한 이후 페리 에너지 장관까지 트럼프 행정부 관료들이 연일 이란을 비난하고 나선 겁니다. <br /> <br />[도널드 트럼프 / 미국 대통령 : 여러 가지 선택사항이 있지만 지금 당장은 검토하고 있지 않습니다. 누가 이런 일을 저질렀는지 확실히 밝혀내고 싶습니다. 사우디아라비아와 협의하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이런 가운데 사우디군 대변인은 초기 조사결과 공격에 사용된 무기들이 이란산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핵합의 파기 이후 갈등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미국은 사우디 사태를 계기로 이란에 대한 압박 강도를 높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서도 유엔 총회 기간 이란과의 정상회담 가능성은 열어놨습니다. <br /> <br />워싱턴에서 YTN 강태욱[taewookk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190917071949633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