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농어촌 민박'은 흔히 펜션으로 불리는데, 화재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다른 숙박업소와 적용받는 법이 달라서 화재 예방 시설이 부족한 곳이 많았습니다. <br /> <br />김평정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해 고등학생 3명이 질식해 숨지고 7명이 크게 다쳤던 강릉 펜션 사고! <br /> <br />제대로 밀폐되지 않은 보일러 배기관에서 일산화탄소가 흘러나오면서 참사로 이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당시 펜션으로 지칭됐지만, 정확한 법적 용어로 따지면 이곳은 '농어촌 민박'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소비자원이 농어촌 민박 안전 실태를 조사해봤더니 다른 숙박업소보다 화재 위험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10곳 가운데 8곳은 화재 때 대피를 위한 유도등이나 유도표지가 없었고, 휴대용 비상조명등을 설치하지 않은 곳도 9곳이나 됐습니다. <br /> <br />3곳은 아예 객실 안에 소화기가 비치돼 있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가스시설이 있는 두 곳은 모두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하는 가스누설 경보기와 일산화탄소 경보기가 없었습니다. <br /> <br />[김병법 / 한국소비자원 생활안전팀장 : 농어촌 민박은 소화기와 단독형 화재감지기만을 의무적으로 설치하고 있어 이에 대한 관련 규정 개선이 필요합니다.] <br /> <br />농어촌 민박은 농어촌정비법을 적용받기 때문에 공중위생관리법 대상인 다른 숙박업소에 비해 꼭 설치해야 하는 소방시설이 훨씬 적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보통은 펜션이란 상호를 함께 쓰기 때문에 이용객이 농어촌 민박인지 일반 숙박업소인지 구별하기는 쉽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소비자원은 농림축산식품부에 농어촌 민박의 안전기준을 강화하고 예약 사이트에서 농어촌 민박 명시를 의무화할 것을 요청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평정[pyung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190920003638910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