서울 지하철 9호선 일부 구간을 담당하는 노동조합이 오늘부터 파업에 들어갔습니다, <br /> <br />퇴근 시간에 접어들면서 파업 여파로 혼잡이 우려되는데요. <br /> <br />현장에 있는 취재 기자 연결하겠습니다. 김다연 기자! <br /> <br />지금 한창 퇴근 시간이 다가오는데, 상황이 어떻습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이곳 '선정릉역'은 퇴근 시간이 되면서 지하철을 이용하려는 시민들로 붐비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선정릉역은 하루 평균 2만 명이 넘는 시민들이 이용할 정도로 매우 혼잡한 역 중에 하나인데요. <br /> <br />여기에 분당선으로 갈아타려는 사람들까지 몰리면서 더욱 북적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노조는 지하철이 관련 법상 필수 유지 공익사업장인 만큼 출근 시간대인 아침 7시부터 9시까지는 100% 운행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퇴근 시간, 그러니까 오후 5시부터 저녁 7시까지는 85%, 나머지 시간대는 운행률 60%를 유지한다는 방침이어서, 특히 퇴근길 혼잡이 우려됐는데요. <br /> <br />서울교통공사가 대체 인력을 투입해 운영시간과 배차 간격 모두 평소와 똑같이 운행하고 있는 만큼 아직 큰 불편은 없는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파업에 참여하는 구간은 2·3단계로 언주역에서 중앙보훈병원역까지 13개입니다. <br /> <br />개화역부터 신논현역까지 1단계의 25개 역 구간은 파업에 참여하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서울시와 서울교통공사는 파업이 장기화할 경우, 운행률이 100%에 미치지 못할 걸 대비해 시내버스를 추가하는 등 비상수송대책을 마련해 교통 혼잡에 대비한다는 방침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노조와 사측이 맞서는 지점이 무엇인지 궁금한데요, 노조 측은 왜 이번 파업을 시작하게 된 건가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노사는 지난 5월부터 15차례에 걸쳐서 협상을 벌여왔습니다. <br /> <br />어제도 협상했지만, 접점을 찾지 못한 상황인데요. <br /> <br />노조는 인력 충원과 호봉제 도입, 현행 민간 위탁구조 폐지 등을 요구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반면 사측은 운영 방식은 단체 교섭에 해당하지 않는 사항이며, 호봉제 또한 사업 구조상 당장 해결하기 힘들다는 입장입니다. <br /> <br />노사는 잠시 뒤 오후 6시부터 다시 협상에 들어갑니다. <br /> <br />협상이 결렬되면, 노조는 모레까지 파업을 진행할 예정인데요, 오는 16일 2차 파업에 돌입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다른 철도와 지하철 노조도 파업을 예고했는데요. <br /> <br />9호선 말고도 ktx가 포함된 철도노조는 11일부터, 또 서울 지하철 다른 노선도 16일 파업을 예고한 상태입니다. <br /> <br />지금까지 서울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191007173749423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