서울지하철 노조가 협상 결렬을 선언하고 오늘부터 사흘 동안 파업에 들어가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아침 출근길 시민 불편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취재 기자 연결합니다. 황선욱 기자! <br /> <br />협상이 결국 결렬되고 파업에 들어가는군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그렇습니다. <br /> <br />오후 3시부터 협상을 시작했지만 1시간 만에 정회에 들어간 이후 다시 협상이 열리지 못했습니다. <br /> <br />서울지하철 1~8호선을 운영하는 서울교통공사 노조는 어젯밤 10시쯤 임금피크제 폐지 등 핵심 요구 사항을 사측이 받아들이지 않았다며 최종 결렬을 선언했습니다. <br /> <br />노조는 이에 따라 아침 6시 반부터 사흘간의 총파업에 들어가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파업에 들어가더라도 지하철은 필수공익사업장이기 때문에 필수 운행비율을 유지해야 하는데 평일은 1~4호선 평균 65.7%, 5~8호선은 78%입니다. <br /> <br />서울시는 파업에 따른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예비인력을 최대한 투입해 출근시간대인 아침 7시부터 9시까지는 평시 100% 수준으로 운행률을 유지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출근 시간 이외 운행률은 평시 대비 75% 수준에 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서울시는 우선 시내버스 운행을 늘리고, 시내버스와 수도권 광역버스의 막차시간을 연장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래도 불편이 따를 수 밖에 없는데요, 출근길은 좀 여유를 두고 나오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노사 협상이 결렬된 이유, 쟁점은 어떤 겁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노조의 요구 가운데 가장 큰 쟁점은 지난 2016년 도입된 임금피크제인데 사측이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노조는 임금피크제 도입으로 재직 기간에 벌 수 있는 임금이 줄어들고 임금피크제 대상이 아닌 직원들도 피해를 보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서울교통공사의 임금피크제는 행정안전부의 '운영지침'에 따라야 하고 다른 지방공기업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합의점을 찾기는 쉽지 않아 보입니다. <br /> <br />임금피크제 폐지 이외에 4조2교대제, 안전인력 충원도 요구했지만 접점을 찾지 못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금까지 사회부에서 전해드렸습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191016000200540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