서울지하철 1~8호선을 운영하는 서울교통공사 노사 협상이 총파업 직전에 타결됐습니다. <br /> <br />노사는 임금을 1.8% 올리고 인력을 더 뽑는 데서 합의점을 찾았지만, 최대 쟁점이었던 임금피크제 문제는 사실상 논의를 유보했습니다. <br /> <br />보도에 이상순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서울지하철이 5분을 남겨놓고 파국을 면했습니다. <br /> <br />[박원순 / 서울시장 : 천만 서울시민의, 또 수도권 시민의 발인 지하철이 좀 더 안전하고 쾌적하게 운영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고, 노사가 늘 함께 했으면 좋겠습니다. 다들 수고하셨습니다.] <br /> <br />서울지하철 1∼8호선을 운영하는 서울교통공사 노사가 극적으로 타협점을 찾았습니다. <br /> <br />양측은 임금 1.8% 인상과 5호선 하남선 연장 개통과 6호선 신내역 신설에 따른 안전 인력 242명 증원에 합의했습니다. <br /> <br />최대 쟁점이었던 임금피크제 폐지는 정부에 문제 해결 건의를 하겠다는 선에서 마무리됐습니다. <br /> <br />지방공기업 전체에 행안부의 동일한 운영지침이 적용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한 겁니다. <br /> <br />서울교통공사의 노사협상은 어제 오후 3시부터 사실상의 파업 돌입 시한인 오늘 아침 9시 직전까지 이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다 보니 출근 시간대에는 파업 여파가 미치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[김형기 / 경기도 부천시 송내동 : 평소와 다름없이 그냥 나왔습니다. 파업한다고 얘기 들어서 걱정은 됐는데 5분 정도 빨리 나왔지만 불편한 건 못 느끼겠습니다.] <br /> <br />하지만 불씨가 완전히 꺼진 것은 아닙니다. <br /> <br />행정안전부의 지방공기업 임금피크제 운영지침에 대한 논의가 유보됐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교통공사는 행안부 지침에 따라 만58세 직원은 임금의 10%를, 만 59세는 20%를 감액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렇지만 노조는 여기서 생긴 여유 재원이 신규인력의 인건비로 쓰이고, 모자라면 기존 직원의 총 인건비가 충당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신규 인력 채용 부담이 직원에게 전가된다면서 임금피크제 폐지를 요구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행안부의 운영지침은 지방공기업에 동일하게 적용되기 때문에 합의가 쉽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임금피크제의 폐지 또는 개선을 최우선 과제로 보고 있는 서울교통공사 노조는 여전히 다음 달 전면파업 카드를 거둬들이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이상순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191016133827906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