문재인 대통령은 국민의 관심이 가장 높은 대입 제도부터 공정성을 확립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차라리 정시전형이 수시보다 공정하다는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면서 <br /> <br />국민적 불신이 큰 학생부 종합전형 개선 방안을 다음 달 안에 마련하고, 서울 주요 대학의 정시 확대도 조속히 추진할 것을 지시했습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김도원 기자! <br /> <br />앞서 정시 비중을 높이겠다고 문 대통령이 시정연설에서 직접 밝혔는데, 좀 더 구체적인 지시를 내놨군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문재인 대통령이 교육개혁 관계장관회의를 연 건 취임 이후 처음인데요, <br /> <br />문 대통령은 공정한 교육제도로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는 게 가장 중요한 교육개혁 과제라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려면 대학입시 제도부터 공정성을 확립해야 하는데, 학생부 종합전형에 대한 국민적 불신이 큰 것이 엄연한 현실이라고 지적했습니다. <br /> <br />성적 일변도에서 벗어난다는 취지는 좋았지만, 학생의 노력보다 부모의 능력, 출신 고등학교 같은 외부 요인이 결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이처럼 불신이 큰 상황에서 수시 비중 확대는 바람직하지 않은 만큼, 서울의 주요 대학을 중심으로 수시와 정시 비중의 불균형 해소 방안을 조속히 마련하라고 지시했습니다. <br /> <br />문 대통령 발언 듣겠습니다. <br /> <br />[문재인 / 대통령 : 정시가 능사는 아닌 줄은 알지만 그래도 지금으로서는 차라리 정시가 수시보다 공정하다는 입시당사자들과 학부모들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야 합니다.] <br /> <br />구체적인 비율은 언급되지 않았지만, 이미 오는 2022학년도까지 정시 비중 30%가 권고사항이기 때문에 40%대로 높이는 방안이 추진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또, 다음 달 안에 학종에 대해 국민이 납득할 수 있는 획기적인 개선 방안을 마련할 것도 주문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와 함께 고교 서열화가 수시 불공정의 배경이 됐다고 보고, 일반고가 교육의 중심이 되도록 공교육의 획기적 강화를 역점 과제로 삼아달라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끝으로 대학에 진학하지 않는 학생의 진로도 관심이 필요하다면서, 고졸 채용 확대와 학생들의 권익 보호까지 범정부 차원에서 협의해 눈에 띄는 변화를 만들어달라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, 채용의 공정성 확보 방안도 범정부적으로 모색해달라고 덧붙였습니다. <br /> <br />지금까지 청와대에서 YTN 김도원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191025134727383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