북한이 정부의 금강산 실무회담을 거부하며 자체 개발 의지를 드러낸 가운데, 정부가 해법 마련에 고심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잇단 도발로 여론도 썩 좋지 않은 데다 북한 역시 당장 우리와 손잡을 생각이 없어 보여 해법을 찾기가 쉽지 않아 보입니다. <br /> <br />김지선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북한이 자체적인 금강산 개발 계획을 고집하면서 정부도 분주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김연철 통일부 장관은 어떻게든 해법을 찾아보자며 투자 기업들과 머리를 맞댔습니다. <br /> <br />금강산 관광이 기본적으로 민간사업이라는 인식하에 기업 측의 의사를 존중해 진행한다는 방침입니다. <br /> <br />[김연철 / 통일부 장관 : 엄중한 상황이기 때문에 지혜를 모아서 어떻게 해서든지 해법을 찾아야 하지 않을까…] <br /> <br />[배국환 / 현대아산 사장 : 관광 재개 준비를 열심히 해오고 있었습니다. 그런데 이런 사건을 맞이하니까 정말 당혹스럽고…] <br /> <br />기업들의 재산권 보호를 강조하긴 했지만, 이미 낡은 시설의 경우 철거나 큰 폭의 개보수가 필요하다는 데는 정부도 공감하는 분위기입니다. <br /> <br />문제는 남북 경제협력을 유지하자고 북한을 설득할 방법이 마땅치 않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김정은 위원장이 공개적으로 대남 의존 정책을 비판한 마당에 북한이 수용할 해법을 찾기가 더욱 어려워졌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김 위원장의 이번 금강산 시찰은 내년 신년사에 담길 자력자강식 경제 개발 메시지의 포석이란 해석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올해 신년사에서 '조건 없는 재개'를 선언했다가 허언이 되면서, 독자적인 개발로 방향을 틀었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[임을출 /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교수 : 김정은 위원장은 삼지연 그리고 원산 갈마 해안 관광 지구 개발을 통해 축적한 기술과 노하우에 대한 자신감을 갖고 있고, 이 자신감을 배경으로 금강산 관광도 독자적으로 개발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하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그나마 제재와 관련이 적은 소규모 개별관광이 대안으로 거론되지만, 북한의 잇단 발사와 원색적인 대남 비난에 대한 여론도 좋지 않아 정부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지선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191103022202581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