강기갑 의원을 위원장으로 하는 통합진보당 혁신비대위가 출범하자 옛 당권파는 이른바 '당원 비대위'로 맞서는 등 당내 세력 간 아귀다툼이 한층 치열해지는 분위기다.<br /><br />통진당 사태가 악화 일로를 걸으면서 19대 총선 비례대표 선거에서 통진당에 표를 던진 219만여 유권자의 시름도 깊어지고 있다.<br /><br />하지만 이번 통진당 사태가 무척이나 반갑고 고마운 세력들도 있다.<br /><br />최시중, 박영준 등 MB 핵심 측근 비리나 민간인 불법 사찰, 광우병 문제는 통진당 사태에 가려 여론의 관심 밖으로 밀려난 지 오래다.<br /><br />소위 보수언론들은 통진당 사태를 빌미로 진보 세력 전체를 대상으로 구시대적 사상 검증 공세에 열을 올리는 모습이다.<br /><br />그러나 이번 통진당 사태의 최대 수혜자는 누가 뭐래도 각각 '제수 성추행'과 '논문 표절' 꼬리표가 붙은 김형태, 문대성 당선자라는 평가다.<br /><br />도를 넘는 추문으로 거센 사퇴 압박을 받았던 두 사람은 통진당 이석기, 김재연 당선자의 버티기 덕분에 여론의 따가운 눈총에서 한 발 비켜날 수 있었다.<br /><br />그래서였을까?<br /><br />문대성 당선자는 17일 열린 19대 국회 초선의원 연찬회에 당당하게 참석하는 여유까지 과시했다. [기획/제작 : nocutV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