"지금 누구를 단죄하자는 것은 아닙니다. 누가, 왜 그랬는지를 찾아내면 국민이 알게 될 테고, 그러면 역사를 잘못 쓰려 했던 모든 사람이 다시는 이런 일을 하지 않을 테니까...꼭 필요한 일입니다"<br /><br />고 장준하 선생의 장남 장호권 씨는 부친의 개묘를 묵묵히 지켜보며 입을 열었다. 차남 호성 씨도 형의 등을 감싸 안으며 조용히 아버지의 무덤을 바라봤다.<br /><br />장준하 선생 암살의혹 규명 국민대책위원회는 선생의 사인을 명확히 밝히기 위해 유골을 정밀 감식하기로 하고 5일 경기 파주시 탄현면 장준하공원에서 추도의식을 갖고 유골수습 등 개묘 작업을 시행했다.<br /><br />조용하던 하늘도 본격적인 개묘가 시작되자 하얀 눈을 뿌리며 고인의 무덤 주변을 새하얗게 덮었다. 지난 8월, 파주 광탄면 묘소 뒤편 석축이 붕괴되면서 묘를 현재의 장소로 이장한 것을 제외하면 37년 만에 고인의 첫 외출이었다.<br /><br />마침내 고인의 유골이 관속에서 나와 처음으로 언론에 모습을 드러냈고, 타살 의혹을 불러일으켰던 두개골의 원형 상흔도 선명하게 들어나 있었다. 두개골을 제외한 다른 유골의 모습은 비교적 온전하게 관에 놓여 있었다.<br /><br />무엇이 고 장준하 선생을 죽음으로 이끌었는지, 그의 죽음 뒤에는 어떤 비밀이 숨겨져 있었는지 대책위는 이번 감식을 통해 밝혀내려고 준비하고 있다. 비공개 장소에서 이정빈 서울대 명예교수 등 민간 법의학자 팀을 통해 정밀 조사될 유골의 감식 결과는 이르면 두 달 안에, 늦어도 여섯 달 안에는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.<br /><br />1975년 8월 17일 경기 포천 약사봉 계곡에서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일까? 고인의 죽음을 둘러싼 의혹과 함께 감식 결과에 세간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.<br /><br />[기획/제작 : 박기묵 방기열 기자]